2025시즌 KBO리그 최고 연봉은 ‘30억원’ 김광현···SSG는 연봉 총액·평균 연봉 모두 1위, ‘400% 인상’ 김도영은 최고 인상률

윤은용 기자 2025. 3. 5. 19:2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SG 김광현. SSG 랜더스 제공



올해 프로야구 최고 연봉 선수는 SSG의 에이스 김광현이다.

KBO 사무국이 5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김광현은 올해 연봉 30억원을 받아 리그에서 가장 높은 연봉을 받는 선수가 됐다.

지난해 연봉 10억원에서 20억원이 상승한 김광현은 기존 19년 차 최고 연봉이었던 2019년 이대호(전 롯데), 지난해 류현진(한화)의 25억원을 경신했다.

올 시즌 연봉 공동 2위는 20억원을 받는 구자욱(삼성)과 고영표(KT), 류현진이며 구자욱은 야수 최고 연봉자로 올라섰다.

지난 시즌 KBO리그 최고의 슈퍼스타였던 김도영(KIA)은 이번 시즌 연봉 인상률 1위 타이틀을 차지했다. 지난해 리그 최우수선수(MVP)인 김도영은 연봉이 1억원에서 5억원으로 올라 인상률 400%를 기록했다. 동시에 2020년 이정후(전 키움)가 작성한 4년 차 최고 연봉 3억9000만원도 넘어섰다.

특히 김도영의 인상률은 역대 KBO리그 공동 11위이며, FA와 비FA 다년계약 사례를 제외하면 2020년 하재훈(SSG)의 455.6%(2천700만원→1억5000만원), 2021년 소형준(KT)의 418.5%(2700만원→1억4000만원)에 이은 세 번째다.

KIA 김도영. KIA 타이거즈 제공



이밖에 지난해 KBO 신인상을 차지했던 김택연(두산)은 연봉 1억4000만원으로 2021년 소형준(KT)이 기록한 2년 차 최고 연봉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또 강백호(KT)는 연봉 7억원으로 지난해 김혜성(전 키움)의 6억5000만원을 넘어 8년차 최고 연봉 선수가 됐고 시즌을 앞두고 FA 계약을 한 최정(SSG)은 연봉 17억원으로 21년 차 최고 연봉을 받는다. 올해 프로 24년 차로 KBO리그 등록 선수 가운데 최고 연차를 자랑하는 최형우(KIA)는 10억원의 연봉으로 2017년 이호준(전 NC)의 종전 24년 차 최고 연봉 7억5000만원을 넘어섰다.

선수단 연봉 총액은 117억2600만원을 기록한 SSG가 차지했다. SSG는 평균 연봉도 2억2125만원으로 1위에 올랐다. 이번 시즌 KBO리그 소속 선수(신인, 외국인 선수 제외) 519명의 평균 연봉은 1억6071만원으로 집계돼 지난해 평균 1억5495만원보다 3.7% 상승한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KT 강백호. KT 위즈 제공



윤은용 기자 plaimstone@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