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임박’ 이상인 방통위 부위원장, 내일 오전 사퇴 가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방송통신위원장 직무대행을 수행 중인 이상인 부위원장이 25일 야당의 탄핵소추안 발의에 자진 사퇴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위원장은 이날 오후 이진숙 방통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할 예정이었다가 야당이 탄핵안을 발의하자 불출석하고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5월 4일 윤석열 대통령 지명으로 방통위원이 된 이 부위원장은 이동관·김홍일 전 위원장이 야당의 탄핵안 발의에 연이어 사퇴하면서 위원장 공석 때마다 직무대행을 수행해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방송통신위원장 직무대행을 수행 중인 이상인 부위원장이 25일 야당의 탄핵소추안 발의에 자진 사퇴할 것으로 알려졌다.
탄핵안은 본회의 보고 후 24시간 이후부터 72시간 이내에 무기명 투표로 표결해야 하는데, 이 부위원장은 이를 고려해 오는 26일 오전까지 사퇴를 공식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부위원장은 이날 오후 이진숙 방통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할 예정이었다가 야당이 탄핵안을 발의하자 불출석하고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5월 4일 윤석열 대통령 지명으로 방통위원이 된 이 부위원장은 이동관·김홍일 전 위원장이 야당의 탄핵안 발의에 연이어 사퇴하면서 위원장 공석 때마다 직무대행을 수행해왔다.
그동안 주요 방송사 재허가·재승인과 보도전문채널 YTN 최대 주주 변경, KBS 수신료 분리 징수, 공영방송 이사회 재편 등 굵직한 의결 및 업무에 참여했다.
이 부위원장이 사퇴하면 방통위는 일시적으로 상임위원이 1명도 없는 초유의 사태를 맞는다.
다만 이 부위원장은 위원장이 아니라 상임위원 지위였기 때문에 대통령이 후임을 바로 임명할 수 있으며, 후임으로는 조성은 사무처장 등이 거론된다.
대통령이 후임을 바로 임명하지 않을 경우 방통위는 위원장 직무대행 없이 사무처장이 사무처만 총괄하면서 이진숙 후보자의 공식 임명과 후임 상임위원 임명을 기다려야 한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당대표·원내대표 의사 다를 땐 원내가 우선?…김종인 "웃기는 얘기"
- '선거법 위반' 김혜경 벌금 300만원 구형…"금액 관계없이 중한 범죄'
- 한동훈, 당대표 비서실장에 '친한계' 박정하 기용
- 한동훈 "野, 분열 기대하며 전대 직후 특검법 상정…착각 말라"
- "기 꺾겠다"며 한 살 아기 멀티탭 전선줄로 무차별 폭행…결국 사망
- '김덕수 단일화' 끝내 결렬…국민의힘, 결국 선수 교체한다
- '단일화 일임한다'던 한덕수 측, 왜 "이재명이 우리 후보 선택하는 셈" 거절했나
- 국민의힘, 의총서 '후보 교체 포함 일체 권한' 비대위에 일임
- "더빙 누가 해야 돼?"…전환점 맞은 국산 애니의 고민 [D:영화 뷰]
- 이예원, 약속의 땅에서 단독 선두 “까다로운 그린 선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