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김민기 ‘아침이슬’과 함께 영면…‘학전’서 꿈 키운 장현성·설경구 ‘오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학로 소극장 학전을 이끌어온 고(故) 김민기를 마지막으로 배웅하면서 후배 배우들이 눈물을 보였다.
고인이 33년 간 일궈온 학전에서 마지막 인사를 한 유가족들과 전에서 꿈을 키운 후배들이 모여 추모의 뜻을 전했다.
특히 유가족들이 고인의 영정을 안고 학전으로 들어서자 배우 장현성, 설경구 등은 비통한 마음에 울음을 참지 못해 보는 이들로 하여금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포츠서울 | 정하은 기자] 대학로 소극장 학전을 이끌어온 고(故) 김민기를 마지막으로 배웅하면서 후배 배우들이 눈물을 보였다.
24일 오전 8시 서울대학교 장례식장에서 김민기의 발인이 엄수됐다. 이날 별도의 영결식은 진행되지 않았다.
발인식이 끝난 후 김민기는 서울 대학로에 위치한 아르코 꿈밭극장 마당을 방문했다. 이곳은 학전이 폐관된 후 새롭게 마련된 극장이다.
고인이 33년 간 일궈온 학전에서 마지막 인사를 한 유가족들과 전에서 꿈을 키운 후배들이 모여 추모의 뜻을 전했다. 이들은 학전 앞에서 함께 묵념하며 고인의 명복을 빌었다.
이날 이곳에는 아르코꿈밭극장을 운영 중인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정병국 위원장을 비롯해, 배우 설경구, 장현성, 황정민, 박학기, 이황의, 최덕문, 방은진, 배성우 등이 고인의 마지막 길을 함께 했다.
특히 유가족들이 고인의 영정을 안고 학전으로 들어서자 배우 장현성, 설경구 등은 비통한 마음에 울음을 참지 못해 보는 이들로 하여금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이날 발인 현장에서 이들은 고인의 마지막 길을 배웅하며 모두 ‘아침이슬’을 불렀다.
한편 김민기는 서울대 회화과에 입학한 1970년 친구 김영세와 포크 듀오 도비두를 결성해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 이듬해 ‘아침이슬’을 담은 솔로 1집을 발표했다.
그러나 ‘아침이슬’이 민주화 시위에서 널리 불리자 유신 정권은 금지곡으로 지정했고, 김민기에 대한 탄압도 자행했다. 김민기는 군대에 다녀온 뒤 노동 현장에 들어가 ‘상록수’, 노래극 ‘공장의 불빛’ 등을 만들었다.
김민기는 1991년 3월15일 서울 대학로에 소극장 학전과 극단 학전을 세웠다. 학전을 개관한 뒤로는 공연을 연출하며 스타들을 배출했다. 고(故) 김광석은 학전이 배출한 최고 스타였다. 윤도현, 나윤선, 정재일 등 음악가들이 학전 출신으로 성장했다.
또 1994년 초연한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이 장기 공연을 하면서 설경구, 김윤석, 황정민, 장현성, 조승우 등 많은 배우들이 거쳐 갔다.
학전이 문 닫는다는 소식과 함께 그의 건강 문제가 알려지자 많은 이들의 안타까워하며 쾌유를 기원했으나 결국 별세 소식을 전해 안타까움을 자아냈다.jayee212@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종국, 대규모 스크린 골프장 사장 된 깜짝 근황…“야인시대가 운명 바꿔”
- 박성광 아내 이솔이, 파격 비키니 자태 공개...“남편이 찍어줬다”
- 맹승지, 몰라보게 달라진 모습...비키니 입고 몸매 뽐내
- 박수홍, ‘슈돌’ 합류에 쏟아진 걱정...아내 김다예 건강 적신호 괜찮나
- ‘결혼 18년차’ 김남일 “아내 김보민, 밤에 호피 무늬 입고 있으면 무서워” 깜짝 폭로
- “편하려고 외국인 원하는 게 아니다, 유럽파는 합리적 소통 원해” 대표팀에 필요한 리더십과
- 류수영, ♥박하선과 “부부 싸움 톡 길이만 지구 두 바퀴는 더 돌아” 폭탄 고백
- LG 김진성 전격 1군 말소…“팀 원칙에 문제를 일으켰다” [SS사직in]
- ‘무당’ 함수현 최종선택에도 “신 허락 받아야” 고민…‘신들린 연애’ 시즌 2 제작될까
- 장항준, ‘시그널2’ 깜짝 스포...“기존 배우들 그대로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