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 김수연 교수팀, 한국어 사용자 맞춤형 인공지능 모델링 과제 진행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종대학교는 본교 영어영문학전공 김수연 교수가 2023년 데이터 활용 기획·검증 과제를 수주해 한국어 사용자 맞춤형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연구팀이 지난 3년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지원을 받아 구축한 데이터를 고도화시켜 사용자 모국어별로 특화된 한국어 학습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세종대학교는 본교 영어영문학전공 김수연 교수가 2023년 데이터 활용 기획·검증 과제를 수주해 한국어 사용자 맞춤형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한다고 22일 밝혔다.
세종대가 주관기관으로 진행하는 이번 과제는 튜터러스랩스의 기술진과 함께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지원한다.
연구팀은 학습자의 모국어에 따른 맞춤형 K-Phonics 교육 모델과 각 문화에 알맞은 대화를 유도하는 K-Dialogue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해당 모델은 학습자의 모국어를 식별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그다음 식별된 모국어와 한국어의 발음 차이에 기반해 맞춤형 발음 교육을 진행하고 학습자 유형에 맞는 대화 콘텐츠를 제공한다.
최근 한국어 학습 열풍이 불며 국내 거주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비대면 교육이 새롭게 등장하면서 다양한 맞춤형 교육 모델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효율적으로 자신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해, 한국어 사용자의 저변확대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과제는 연구팀이 지난 3년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지원을 받아 구축한 데이터를 고도화시켜 사용자 모국어별로 특화된 한국어 학습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김 교수는 이러한 특수 데이터를 기반으로 2023년 상반기에 공공 및 민간 기관에서 약 5억 4천만 원의 연구비를 수주해 노년층 대화 모델과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 모델을 개발하는 4개의 과제를 책임 수행하고 있다.
인공지능 모델링 과제를 인문대학 언어학 전공 교수가 주관하게 된 이유에 대해 김 교수는 “인공지능을 가장 인간답게 만드는 주체로서의 인간에 대한 이해를 연구하는 것이 바로 인문학이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인공지능 개발에서 기술적인 측면보다도 중요한 것이 사람처럼 마음을 읽는 유연한 접근이라고 강조한 것이다.
또한 김 교수는 “디지털 소외계층을 줄이고 인공지능의 혜택을 좀 더 다양한 계층이 누릴 수 있도록, 인문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하는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노팬티 절친, 부엌서 내 남편과 스릴을.."문틈으로 다봤다" 충격 [헤어질 결심]
- "김연아·차인표가 죽었다고?"..살아있는 연예인 사망 뉴스 채널 '경악'
- "목욕탕도 안 간다" 심진화, '성추행 트라우마'로 호흡곤란까지
- 김보라, 29세 결혼→11개월만에 이혼 "대나무숲 생겼다" 발언 재조명
- '재혼' 이상민 "아내, 10살 연하 초혼…3개월 연애" [RE:TV]
- 김정렬 "서세원 장례식서 숭구리당당…천국 가는 길 터줘"
- 카메라 찾다 실종된 女…심해 87m서 숨진 채 발견
- 반려견 찾으러 수락산 올라갔던 80대 숨진 채 발견
- 진태현, 갑상선암 투병 고백…아내 박시은 응원
- "사람들 다 쳐다보는데" 상반신 내놓고 볼일...여성용 이동식 소변기 통할까 [어떻게 생각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