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풍산개 반환 통보에…與 "월 200 개 관리인 왜 필요한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런 결정 뒤에 월 250만원 위탁관리 비용이 얽혀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정치권이 때아닌 '풍산개 파양' 논란으로 후끈 달아올랐다.
ADVERTISEMENT
김재섭 국민의힘 서울 도봉갑 당협위원장 또한 "반려견을 키워보신 분들은 누구나 다 이 사건을 보고 '구질구질하다'고 느낄 것이다"라며 문 전 대통령은 '원래는 국가의 소유지만 내가 위탁받아서 기르고 있었는데 국가가 지원하지 않겠다고 하니 파양하겠다'는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한민수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강아지에 대한 파양으로 접근하면 감정적인 문제가 된다"면서 "윤석열 대통령과 문 전 대통령이 이미 이와 관련해 상의한 적이 있다. 윤 대통령이 가져다가 키우라고 한 상태였는데 지금 이걸 문제 삼고 이렇게 공격하는 것은 대통령실의 치졸한 짓이다"라고 반박했다.
ADVERTISEMENT

비서실은 입장문에서 "문 전 대통령은 대통령기록관으로부터 위탁받아 관리하고 있던 풍산개 ‘곰이’와 ‘송강’을 대통령기록관에 반환하고자 한다"고 했다.
비서실은 문 전 대통령이 풍산개를 맡게 된 이유에 대해 "대통령기록관에 반려동물을 관리하는 인적·물적 시설과 시스템이 없기 때문"이라며 "대통령기록물의 관리위탁은 쌍방의 선의에 기초하는 것이므로 정부 측에서 싫거나 더 나은 관리 방안을 마련하면 언제든지 위탁을 그만두면 그만"이라고 했다.
ADVERTISEMENT
반면 윤 정부 측은 '정든 개 데려가라 배려했지, 언제 예산 받아 관리하랬나'라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당선 직후인 올 3월 23일 기자들과 만남에서 ‘해당 풍산개가 정상 간 선물이라 인계 대상’이라는 설명을 듣고 "근데 강아지는, 아무리 정상 간 선물이라 해도 키우던 주인이 계속 키워야지, 주인이 바뀌면…. 일반 물건하곤 다르다"라고 했다.
ADVERTISEMENT

대통령실은 "해당 시행령은 대통령기록관 소관으로 행안부, 법제처 등 관련 부처가 협의 중일 뿐 시행령 개정이 완전히 무산된 것이 아니다"라며 "관계부처가 협의하는 것은 당연한 절차다. 시행령 입안 과정을 기다리지 않고 풍산개를 대통령기록관에 반환한 것은 전적으로 문 전 대통령 측 판단일 뿐 현재의 대통령실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문 전 대통령은 재임 기간 본인 소유인 풍산개 마루와 토리, 유기묘 찡찡이의 사료와 약값은 사비로 댔고, 송강이와 곰이의 비용은 청와대 예산으로 충당해왔었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