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65세 고령인구 900만명 첫 돌파..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처음으로 900만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올해 기준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01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3년 뒤인 2025년에는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20.6%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2035년에는 30.1%, 2050년에는 40%를 넘어설 것이라는 게 통계청의 관측이다.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519만5000가구로 전체 가구의 24.1%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세종=김혜원 기자] 올해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처음으로 900만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7.5%에 해당한다. 오는 2025년이면 이 비중이 20%를 돌파해 한국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고령자 통계'를 29일 발표했다.
올해 기준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01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사상 처음으로 900만명을 넘는 것이다.
3년 뒤인 2025년에는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20.6%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2035년에는 30.1%, 2050년에는 40%를 넘어설 것이라는 게 통계청의 관측이다.
우리나라의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도달 연수는 7년으로 오스트리아 53년, 영국 50년, 미국 15년, 일본 10년에 비해 매우 빠른 속도다.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하는 고령인구를 의미하는 노년 부양비는 올해 24.6명이며, 2035년에는 48.6명, 2050년에는 78.6명에 이를 전망이다.
지역별로 고령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24.5%), 가장 낮은 지역은 세종(9.9%)이었다. 2028년에는 세종을 제외한 우리나라 모든 지역이 초고령사회가 된다.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519만5000가구로 전체 가구의 24.1%다. 2050년에는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약 절반(49.8%)이 고령자 가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사태 속에서도 황혼 이혼은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전체 이혼 건수는 전년 대비 4.5% 감소했지만 65세 이상 남자와 여자의 이혼은 각각 13.4%, 17.5% 증가했다. 재혼 역시 전체 연령층에선 감소했지만 65세 이상 남녀의 재혼은 각각 6.4%, 14.7% 늘었다.
가족과 노후준비 등에 대한 고령자의 의식은 점차 변하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가족이 부모를 부양해야 한다는 견해는 38.3%에서 27.3%로 감소했다. 대신 가족과 정부, 사회가 함께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중은 37.8%에서 49.9%로 높아졌다. 자식이 부양해주길 기대하는 고령자들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는 의미다.
본인·배우자가 직접 생활비를 마련하는 고령자 비중은 65.0%였다. 3명 중 2명이 스스로 생활비를 조달한다. 이와 함께 65~79세 고령자 54.7%가 취업 의사가 있다고 답변했다. 취업을 원하는 사유는 생활비에 보탠다는 응답이 53.3%로 가장 많았다.
2021년 기준으로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의 순자산액은 4억1048만원으로 전년 대비 6094만원 증가했다. 부동산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80.9%로 가장 높았고, 저축은 13.8%로 타 연령대에 비해 낮았다.
66세 이상 은퇴 연령층의 소득 분배지표는 2016년 이후 개선되고 있으나 빈곤율은 여전히 높다. 2019년 기준 66세 이상 노인의 상대적 빈곤율은 43.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65세 이상 고령자의 공적연금 수급률은 55.1%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여자의 공적연금 수급률이 40.6%로 남자(74.1%)의 절반 수준이다.
세종=김혜원 기자 kimhye@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고졸 초봉 5600만원, 대학 학비도 드려요"…인력난에 파격조건 내건 日 기업들 - 아시아경제
- "서울만 생각하면 눈물 줄줄"…한 번 다녀오면 걸린다는 中 MZ들 유행병 - 아시아경제
- "내년에는 못 먹어요"…가장 맛있고 비싼 버섯 들어간 커피에 미식가들 환호 - 아시아경제
- 매일 먹으면 4일 만에 기억력 위험…'이 음식' 끊었더니? - 아시아경제
- 걸그룹 데뷔시킨 에어아시아…기내서 배꼽티 입고 춤춘 승무원들 논란 - 아시아경제
- 대만 유튜버 폭행범 '중국인'이라더니…경찰 7시간 뒤 "한국인" - 아시아경제
- "38살인데 코인노래방 다녀"…고객 조롱한 카드사 직원들 - 아시아경제
- '유튜브 재개' 강선우, 구독자 10만 돌파…'실버버튼' 영상 공개 - 아시아경제
- "치킨 튀겨 年30억 벌어요"…BBQ 전국매출 1위 점주의 비결 - 아시아경제
- 中 인기 배우 사망에…어머니 "음주 후 추락사, 더 이상 추측 삼가 달라"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