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 "'긴급조치 9호' 피해자들에게 국가배상 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원고 패소 판결한 원심 파기환송
7년 만에 관련내용 판례 뒤집혀
7년 만에 관련내용 판례 뒤집혀

30일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김재형 대법관)는 A씨 등 71명이 대한민국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패소로 판결한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ADVERTISEMENT
박정희 전 대통령은 긴급조치 9호를 1975년 발동했다. 유신헌법을 부정·반대·왜곡·비방하거나 개정이나 폐지를 주장·청원·선동·선전한 경우 1년 이상의 징역에 처하게 했다. 피해자들은 이 같은 조치가 부당했다고 주장하며 2013년 9월 국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1심은 2015년 5월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 대법원이 같은해 3월 내놓은 판결 내용을 근거로 삼았다. 피해자들은 2018년 대법원의 문을 두드렸다. 전원합의체에 회부해 사건을 심리한 대법원은 이날 피해자들에게 국가의 배상책임이 있다고 판단했다.
ADVERTISEMENT
이어 "이런 경우 긴급조치 9호의 발령부터 적용·집행에 이르는 일련의 국가작용은 '전체적'으로 보아 공무원이 직무를 집행하면서 객관적 주의의무를 소홀히 해 그 직무행위가 객관적 정당성을 상실한 것으로서 위법하다"면서 "긴급조치 9호의 적용·집행으로 강제수사를 받거나 유죄 판결을 선고받고 복역함으로써 개별 국민이 입은 손해에 국가 배상 책임이 인정될 수 있다"고 했다.
이번 사건의 원고 외에도 아직 판결을 받지 않은 긴급조치 9호 피해자들은 국가배상으로 구제를 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그러나 예전에 소송을 제기해 이미 기각 확정 판결을 받은 피해자들은 다시 소송을 제기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기판력(확정판결에 부여되는 구속력)에 반한다는 이유로 허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최한종 기자 onebell@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