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나운서 출신 방송인 오상진 / 사진=뉴스1 |
24일 오상진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뒤늦게 올려보는 문해력에 논란에 대한 나의 생각"이라는 문장으로 시작하는 장문의 글을 올렸다.
그는 "'심심한' 사과의 말이 며칠 전 트렌드를 뜨겁게 달구었다"며 "기본적으로는 걱정의 목소리가 높다. 빠른 인터넷의 보급으로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와 적응의 속도는 빠른 반면, 문해력 순위는 계속 밀려나고 있다. OECD 내 (문해력) 순위는 상위권에서 중위권으로 점점 낮아지는 추세라고 한다"고 운을 뗐다.
이어 "언어는 변화하기 마련이다. 한국어는 참 어렵다"면서 "모든 사람이 이걸 다 알 수는 없다. 그리고 그래야만 할 이유도 없다. 그러니까 결론적으로 이걸 가지고 싸울 이유가 없다. 찾아보라고 사전이 있는 것이며, 요즘은 인터넷에 모든 사전이 다 올라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문제는 지나친 자기 확신과 뭘 좀 안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오만이 부딪혔을 때 발생한다"며 "'심심한'이라는 말이 거슬리게 들릴 수도 있지만 순간의 화를 누르고 사전을 한 번 찾아봤다면 이런 갈등도 없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끝으로 "서점을 하는 사람으로서 아무도 책을 읽지 않는 세상이 된 건 좀 아쉽기는 하지만, 뭐 어쩔 수 없는 것 아닌가"라며 "세상의 흐름에 맞는 소통법과 노력이 무엇보다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이야기를 너무 길게 쓰는 나 자신이 너무 싫기는 하다. 나 꼰대 맞나봐"라고 덧붙였다.
![]() |
/사진=트위터 캡처 |
앞서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심심한 사과' 표현 관련 논란이 불거졌다.
지난 20일 서울의 한 카페는 고객들에게 사과하는 과정에서 "불편을 끼쳐 드린 점 다시 한번 심심한 사과 말씀드린다"는 내용의 공지 글을 올렸다.
이를 두고 일부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심심한 사과라니 난 하나도 안 심심하다", "제대로 된 사과도 아니고 무슨 심심한 사과?", "앞으로 공지글은 생각이 있는 사람이 올리는 게 어떨까" 등의 비판이 제기됐다.
이 같은 비판은 마음의 표현 정도가 매우 깊고 간절하다는 뜻의 '심심(甚深)하다'를, '하는 일이 없어 지루하고 재미가 없다'는 뜻의 동음이의어로 잘못 이해하면서 생긴 해프닝이었다.
이에 일각에서는 "실질 문맹률이 높다는 게 실감이 된다"는 조롱이 나왔다. 실제로 OECD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기본 문맹률은 1%에 가깝지만, 읽은 문장의 뜻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실질 문맹률은 7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부 누리꾼들은 "표현을 모를 수도 있다", "'심심한 사과'는 과도한 한자어 사용" 등의 의견을 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