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VIP
통합검색

前 아나운서 오상진, '심심한 사과' 논란에 "싸울 이유가 없는데…"

머니투데이
  • 차유채 기자
  • 카카오톡 공유하기
  • 카카오톡 나에게 전송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 텔레그램
  • 문자
  • VIEW 12,936
  • 글자크기조절
아나운서 출신 방송인 오상진 / 사진=뉴스1
아나운서 출신 방송인 오상진 / 사진=뉴스1
MBC 아나운서 출신 방송인 오상진이 '심심한 사과' 논란과 관련해 소신을 밝혔다.

24일 오상진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뒤늦게 올려보는 문해력에 논란에 대한 나의 생각"이라는 문장으로 시작하는 장문의 글을 올렸다.


그는 "'심심한' 사과의 말이 며칠 전 트렌드를 뜨겁게 달구었다"며 "기본적으로는 걱정의 목소리가 높다. 빠른 인터넷의 보급으로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와 적응의 속도는 빠른 반면, 문해력 순위는 계속 밀려나고 있다. OECD 내 (문해력) 순위는 상위권에서 중위권으로 점점 낮아지는 추세라고 한다"고 운을 뗐다.

이어 "언어는 변화하기 마련이다. 한국어는 참 어렵다"면서 "모든 사람이 이걸 다 알 수는 없다. 그리고 그래야만 할 이유도 없다. 그러니까 결론적으로 이걸 가지고 싸울 이유가 없다. 찾아보라고 사전이 있는 것이며, 요즘은 인터넷에 모든 사전이 다 올라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문제는 지나친 자기 확신과 뭘 좀 안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오만이 부딪혔을 때 발생한다"며 "'심심한'이라는 말이 거슬리게 들릴 수도 있지만 순간의 화를 누르고 사전을 한 번 찾아봤다면 이런 갈등도 없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끝으로 "서점을 하는 사람으로서 아무도 책을 읽지 않는 세상이 된 건 좀 아쉽기는 하지만, 뭐 어쩔 수 없는 것 아닌가"라며 "세상의 흐름에 맞는 소통법과 노력이 무엇보다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이야기를 너무 길게 쓰는 나 자신이 너무 싫기는 하다. 나 꼰대 맞나봐"라고 덧붙였다.

/사진=트위터 캡처
/사진=트위터 캡처

앞서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심심한 사과' 표현 관련 논란이 불거졌다.

지난 20일 서울의 한 카페는 고객들에게 사과하는 과정에서 "불편을 끼쳐 드린 점 다시 한번 심심한 사과 말씀드린다"는 내용의 공지 글을 올렸다.

이를 두고 일부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심심한 사과라니 난 하나도 안 심심하다", "제대로 된 사과도 아니고 무슨 심심한 사과?", "앞으로 공지글은 생각이 있는 사람이 올리는 게 어떨까" 등의 비판이 제기됐다.

이 같은 비판은 마음의 표현 정도가 매우 깊고 간절하다는 뜻의 '심심(甚深)하다'를, '하는 일이 없어 지루하고 재미가 없다'는 뜻의 동음이의어로 잘못 이해하면서 생긴 해프닝이었다.

이에 일각에서는 "실질 문맹률이 높다는 게 실감이 된다"는 조롱이 나왔다. 실제로 OECD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기본 문맹률은 1%에 가깝지만, 읽은 문장의 뜻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실질 문맹률은 7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부 누리꾼들은 "표현을 모를 수도 있다", "'심심한 사과'는 과도한 한자어 사용" 등의 의견을 내기도 했다.



머니투데이 주요뉴스

"주식 불안해" 갈곳 잃은 뭉칫돈…"높은 수익" 7조 몰렸다
네이버 메인에서 머니투데이 구독 다음 언론사 홈에서 머니투데이 구독

베스트클릭

이슈패키지

오늘의 꿀팁

  • 뉴스 속 오늘
  • 더영상
  • 날씨는?
  • 헬스투데이

많이 본 뉴스

미피의 마법우체통

포토 /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