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냉장고에 배까지 버렸다…"낙동강 하구 쓰레기 천국"

부산녹색연합, 5월 16·17일 진우도 등 답사

곳곳에서 쓰레기 더미 발견…통합 관리 해야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철새도래지 낙동강하구가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진우도에 양식장에서 쓴 것으로 추정되는 염산통 수십개가 발견된 모습. 부산녹색연합 제공
진우도 내부에서 버려진 보트가 발견된 모습. 부산녹색연합 제공
(사)부산녹색연합이 지난 16,17일 낙동강 하구 무인도인 진우도와 백합등을 조사한 결과 각종 쓰레기 더미가 곳곳에 방치돼 있었다. 진우도 해안가에서는 김양식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흰색 염산통 수십개가 해안가에 나뒹굴고 있었다. 한켠에선 2021년이 찍힌 강서구청 마대자루 에 담긴 쓰레기 더미도 발견됐다. 해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섬 내부에서도 쓰레기 더미가 확인됐다. 섬 내부 풀숲에서 버려진 배이 3척이 발견되는가 하면 스티로폼 부표 수십개도 버려져있었다.

진우도에서 발견된 스티로폼 부표. 부산녹색연합 제공
진우도에 방치된 폐기물 처리용 마대자루. 부산녹색연합 제공
백합등의 상황도 마찬가지였다. 드론으로 들여다 본 백합등의 모습은 쓰레기장을 방불케했다. 플라스틱 병이나 정체를 알 수 없는 폐기물은 물론이고 심지어 버려진 냉장고도 보였다. 현장을 찾았던 부산녹색연합 김수정 사무국장은 “지난해에도 드론으로 상황을 모니터링 했었으나 올해는 상황이 더 심각하다고 판단, 직접 들어가서 살펴봤다”며 “해류에 휩쓸려 온 해양 쓰레기 뿐만 아니라 인위적으로 버려진 쓰레기가 더 많을 만큼 심각하다”고 전했다.

드론으로 들여다본 백합등에 쓰레기가 곳곳에 널려있다. 부산녹색연합 제공
국내 최대 철새도래지인 낙동강하구는 지난 1966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것을 시작으로 1987년 자연환경보전지역, 1999년 습지보호지역 등으로 잇따라 지정됐다. 하구 내 6개 무인도서(도요등 맹금머리등 백합등 신자도 장자도 진우도)는 해수부가 지정 관리하는 무인도서 절대보전지역에 속한다. 김 사무국장은 “ 관련법에 따라 해수부 환경부 문화재청 국토부가 관리 책임을 맡고 있으나 여러 부서로 관리 주체가 나누어진 탓에 쓰레기 처리와 같은 현장 관리는 정작 제대로 되지 않는 실정”이라며 “통합 관리 방안을 모색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부산 중구청 ‘암초’ 만난 신청사 공사…주차장 축소 불가피
  2. 2부전도서관 공공개발…부산진구 ‘시설 요구’ 새 변수 부상
  3. 3옛 부산외대 부지 아파트 공사, 철탑마을 주민 주거대책 호소
  4. 4‘다대포 분수쇼 사고’ 사하구, 교통안전 대책 마련(종합)
  5. 5“죽음보다 두려운 건 서로의 부재…고통스럽지만 엄청난 멜로죠”
  6. 6생닭 2마리 3980원·반값 한우…대형마트들 물가잡기 동참한다(종합)
  7. 7동명대 유령입학 사태, 실적 과욕이었나
  8. 8롯데 ‘윤·손·고’ 순차 귀환…주전 경쟁 뜨거워진다
  9. 9고영삼의 인생 이모작…한 번 더 현역 <72> 서정영 거제 옥계마을 이장
  10. 10부산교대 마지막 총장 후보…1순위 전제철, 2순위 이광현
  1. 1실타래처럼 얽힌 가덕 보상 갈등…이주지원법이 물꼬 틀까
  2. 2당정 “7·8월 전기료 누진구간 완화”
  3. 39대 부산시의회 마지막 예결위원장 조상진
  4. 4부산시의회 “스프링클러 없는 주택 전기점검 의무화를”
  5. 5‘업체 겹치기 근무’ 의혹 권오을 집중포화(종합)
  6. 6[정가 인&아웃] ‘인맥왕’ 김대식 의원 해외 북 콘서트…지방선거 의식 사상정가, 참석 고심
  7. 7이틀 연속 ‘비상계엄 옹호’ 전한길 부른 국민의힘
  8. 8인사청문회 사흘째… '이진숙 논문표절 의혹' 등 與野 공방 예고
  9. 9與 김병기 “尹 감방서 끌어내 조사하라…제정신 아냐”
  10. 10이진숙, 차녀 '중퇴 유학'에 "불법인지 몰라… 진심으로 송구"
  1. 1생닭 2마리 3980원·반값 한우…대형마트들 물가잡기 동참한다(종합)
  2. 2서면 첫 하이엔드 ‘써밋 더뉴’…강남 아파트급 컨시어지 선보인다
  3. 3“직무역량 강화 힘써야” “AI 특화대학 짓자” 쏟아진 청년 제언
  4. 4“크루즈에 호텔·버츄얼 영화 스튜디오 만들 것”
  5. 5저신용자 ‘소액 교통카드’ 발급하나
  6. 6스마트폰으로 변환 3D영상 즐겨요
  7. 7부산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 95…전월보다 21.7p 급등
  8. 8부진경자청, 상반기 외투 유치 67% 증가
  9. 9“교통·주거문제 등 획기적 정책 구상” 朴시장의 약속
  10. 10[뉴스 분석] 금융위는 핵심 정책 주도하며 생존책 모색, 금감원·한은은 금융감독 권한 놓고 신경전
  1. 1부산 중구청 ‘암초’ 만난 신청사 공사…주차장 축소 불가피
  2. 2부전도서관 공공개발…부산진구 ‘시설 요구’ 새 변수 부상
  3. 3옛 부산외대 부지 아파트 공사, 철탑마을 주민 주거대책 호소
  4. 4‘다대포 분수쇼 사고’ 사하구, 교통안전 대책 마련(종합)
  5. 5동명대 유령입학 사태, 실적 과욕이었나
  6. 6고영삼의 인생 이모작…한 번 더 현역 <72> 서정영 거제 옥계마을 이장
  7. 7부산교대 마지막 총장 후보…1순위 전제철, 2순위 이광현
  8. 8부산 황령산 전망대·케이블카 조성사업 본궤도… 내년 초 착공
  9. 9“잇단 땅꺼짐… 부산도 ‘공동(空洞)’ 주기적 조사해야”
  10. 10부산 용호초 통학로 확장
  1. 1롯데 ‘윤·손·고’ 순차 귀환…주전 경쟁 뜨거워진다
  2. 2이적설 휩싸인 손흥민, 웃으며 팀 훈련
  3. 3ABS 정착에 뚜렷해진 ‘투고타저’…3할 타자 줄고 ‘평자 2점대’ 늘어
  4. 4프로농구 10월 3일 점프볼…KCC, 삼성과 경기
  5. 5‘과학적 스포츠영재 육성’ 공모 사업, 부산스포츠과학센터 2년 연속 선정
  6. 6내보내는 족족 대박…이게 롯데판 화수분 야구
  7. 7첼시, 세계 최강 클럽팀 등극…최우수선수 파머
  8. 8빅리거 3인방, 후반기 활약 기대감
  9. 9신네르, 윔블던 첫 정상…라이벌 알카라스 꺾어
  10. 10흔들림 없는 ‘투타 코어’…롯데 시네마 주연
고영삼의 인생 이모작…한 번 더 현역
서정영 거제 옥계마을 이장
부산 원도심 행정통합 재추진
1개구(해운대구) 인구보다 적은 중·동·서·영도…통합해야 대형사업 유치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