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박람회장 공공개발 촉진 시민연대가 국회에서 주철현 의원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여수박람회장 사후활용특별법 통과를 촉구하고 있다. 시민연대 제공2012여수세계박람회 개최 10주년을 맞은 가운데 여수박람회장의 사후활용을 둘러싼 논란이 여수를 지역구로 하는 더불어민주당 주철현, 김회재 의원 간 대리전으로 치닫고 있다.
여수선언실천위원회와 여수YMCA, 여수지역사회연구소 등 8개 단체로 구성된 여수박람회장 공공개발 촉진 시민연대는 11일 여수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여수광양항만공사 주도의 박람회장 사후활용 입법을 촉구하고 나섰다.
시민연대는 "여수박람회장 사후활용을 위한 공공개발의 주체를 여수광양항만공사로 하자는 것은 지난 10년의 공론과 숙의의 결과물"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역에서 공론화를 다시 하자는 사람들이 있는데 철없는 소리"라며 "지난 10년의 공론과 숙의의 과정에서 어디에 있었는지도 모르는 몇 사람이 토론 몇 번 한다고 나올 게 무엇이 있겠느냐. 시간만 가고 골든타임을 놓치게 된다"고 우려했다.
이들은 주철현 의원(여수갑)이 대표발의한 '여수세계박람회 기념 및 사후활용에 관한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여수박람회장법)'과 '항만공사법 일부개정법률안'의 국회 통과를 주장하고 있다.
여수박람회장 미래 공론화추진위원회 김경호 위원장이 기자회견에서 여수시가 박람회장을 인수해 사후활용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창민 기자이에 맞서 여수박람회장 미래 공론화추진위원회는 지난 7일 여수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람회장 사후활용 주체는 여수시가 돼야 한다"면서 "박람회장 사후활용을 위해 여수시민 1만 2천 명의 서명을 받아 공론화 필요성이 입증됐다"고 주장했다.
공론화추진위는 4월 중 전문가와 시민사회, 언론인, 시민 등 20여 명으로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하고 6월까지 TV토론회 4회, 여론조사 등을 통해 공론을 모으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공론화추진위원회의 공론화 주장은 여수시가 박람회장을 인수해 K-컬쳐 콘텐츠 중심으로 개발해야 한다는 김회재 의원(여수을)의 주장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
김 의원이 전면에 나서지는 않고 있지만 공론화추진위원회가 김 의원의 입장을 대변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 같은 점 때문에 공공개발 시민연대는 이번 기자회견에서 "골든타임을 놓치고 공공개발이 무산되어 박람회장에 재앙적 결과가 초래될 경우 김회재 의원이 모든 책임져야하며 우리는 끝까지 책임을 물을 것"이라며 김 의원 책임론을 들고 나왔다.
주 의원 주도로 발의된 여수박람회장법은 현재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계류 중이지만 김회재 의원의 반대로 안건 상정이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여수를 지역으로 둔 주 의원과 김 의원 간의 박람회장을 둘러싼 갈등은 2년뒤 치러지는 총선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여수의 인구는 지난 3월 기준 27만 6145명, 순천시는 28만 719명으로 2020년 7월 추월을 허용한 이후 간극이 점차 벌어지고 있다.
이 같은 추세대로라면 차기 총선에서 여수 선거구는 현재 2곳에서 1곳으로 축소가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는만큼 주 의원과 김 의원 간의 현안을 둘러싼 입장차가 점차 극명해질 것이란 분석이다.
항만공사 주도의 공공개발 주장이나 여수시 인수 방식의 공공개발 주장 모두 일정 부분 합당한 측면이 있다.
문제는 10년을 끌어온 여수박람회장 사후활용 방안 논의가 두 의원 간 갈등 때문에 해결점을 찾기보다는 또다시 장기 표류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공공개발이냐 민간개발이냐를 놓고 10년간 표류해온 여수박람회장 사후활용이 공공개발 주체 결론을 앞두고 지역 사회가 분열하는 가운데 정치권이 힘을 모아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