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2살 어려진다..인수위 "'만 나이'로 통일 추진"
두가온 동아닷컴 기자 2022. 4. 11. 10: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법적·사회적 나이 계산법을 '만 나이' 기준으로 통일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간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세는 나이(출생일부터 1살)', '만 나이(출생일 기준 0살)', '연 나이(현재 연도에서 출생연도를 뺀 나이)' 계산법을 모두 사용하고 있다"며 "법적·사회적 나이 계산법이 통일되지 않아 국민들이 행정서비스를 받거나 각종 계약을 체결할 때 나이 계산에 대한 혼선이 지속돼 불필요한 사회 경제적 비용이 발생해 왔다"고 설명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법적·사회적 나이 계산법을 ‘만 나이’ 기준으로 통일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인수위 정부사법행정분과 이용호 간사는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통의동에서 브리핑을 통해 “불필요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없애고 국민 생활의 혼란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 간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세는 나이(출생일부터 1살)’, ‘만 나이(출생일 기준 0살)’, ‘연 나이(현재 연도에서 출생연도를 뺀 나이)’ 계산법을 모두 사용하고 있다”며 “법적·사회적 나이 계산법이 통일되지 않아 국민들이 행정서비스를 받거나 각종 계약을 체결할 때 나이 계산에 대한 혼선이 지속돼 불필요한 사회 경제적 비용이 발생해 왔다”고 설명했다.
인수위 정부사법행정분과 이용호 간사는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통의동에서 브리핑을 통해 “불필요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없애고 국민 생활의 혼란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 간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세는 나이(출생일부터 1살)’, ‘만 나이(출생일 기준 0살)’, ‘연 나이(현재 연도에서 출생연도를 뺀 나이)’ 계산법을 모두 사용하고 있다”며 “법적·사회적 나이 계산법이 통일되지 않아 국민들이 행정서비스를 받거나 각종 계약을 체결할 때 나이 계산에 대한 혼선이 지속돼 불필요한 사회 경제적 비용이 발생해 왔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인수위는 우선 민법 및 행정기본법에 ‘만 나이’ 계산법 및 표기 규정을 마련해 법령상 민사·행정 분야의 ‘만 나이’ 사용원칙을 확립한 다음, 현재 ‘연 나이’ 계산법을 채택하고 있는 개별법의 정비를 추진할 방침이다.
또 민법에 ‘만 나이’ 적용 원칙이나 표기 방법을 명문화 하는 방안, 행정기본법에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각종 정책을 수립하는 방안, 공문서를 작성할 때 ‘만 나이’만을 사용하고 국민에게 계산법을 적극 권장·홍보할 책무를 규정하는 방안 등을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수위는 “‘만 나이’ 사용이 일상생활에서 정착되면 특정 연령을 기준으로 법령이 적용되거나 행정·의료서비스가 제공될 때 국민들의 혼란이 최소화되고 국제관계에서도 오해가 발생하지 않으며 각종 계약에서 나이 해석에 관한 다툼의 여지가 사라져 법적 분쟁이나 불필요한 비용이 크게 감소하는 등 사회 전반적인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인수위는 내년까지 국회를 통과할 수 있도록 법제처가 올해 안에 행정기본법 개정안을 마련해 국회에 제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민법에 ‘만 나이’ 적용 원칙이나 표기 방법을 명문화 하는 방안, 행정기본법에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각종 정책을 수립하는 방안, 공문서를 작성할 때 ‘만 나이’만을 사용하고 국민에게 계산법을 적극 권장·홍보할 책무를 규정하는 방안 등을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수위는 “‘만 나이’ 사용이 일상생활에서 정착되면 특정 연령을 기준으로 법령이 적용되거나 행정·의료서비스가 제공될 때 국민들의 혼란이 최소화되고 국제관계에서도 오해가 발생하지 않으며 각종 계약에서 나이 해석에 관한 다툼의 여지가 사라져 법적 분쟁이나 불필요한 비용이 크게 감소하는 등 사회 전반적인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인수위는 내년까지 국회를 통과할 수 있도록 법제처가 올해 안에 행정기본법 개정안을 마련해 국회에 제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두가온 동아닷컴 기자 gggah@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곤궁처한 남편 보고 깔깔…이은해, 사이코패스 가능성”
- 김오수 “검수완박땐 총장직에 연연 않겠다”
- 최대 2살 어려진다…인수위 “‘만 나이’로 통일 추진”
- 민주당 “윤핵관 끼리끼리” vs 국민의힘 “협조가 정치 도의”
- “UFO 떨어졌나?”…알래스카 하늘 정체불명 기둥에 술렁
- 박범계 “檢, 왜 공정한 수사엔 일사불란 대응 안하는지 의문”
- 연인 성폭행한 마사지 업주 감금·폭행한 20대…현행범 체포
- 코로나 증상 경미해도…최대 6개월 ‘○○ 위험’ 증가
- 정부 “마스크 착용 해제 비롯해 거리두기 전체 논의 착수”
- 취임식 슬로건 ‘다시, 대한민국. 새로운 국민의 나라’…BTS는 안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