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20조원 적자..전기요금 인상 등 중장기 대책 논의될것"-NH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NH투자증권은 8일 "한국전력의 적자 규모를 유의미하게 줄이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결국 전기요금 인상을 포함한 중장기 대책이 논의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그는 인수위도 이런 점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대통령 취임 후 한국전력의 현재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우호적인 대책이 나올 것으로 예상했다.
예를 들면 원자력 발전소 증설이나 전기요금 인상 계획,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같은 재무구조 개선 방안 등과 같은 근본적인 대책들이 논의될 수 있단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NH투자증권은 8일 "한국전력의 적자 규모를 유의미하게 줄이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결국 전기요금 인상을 포함한 중장기 대책이 논의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한국전력의 올해 영업적자는 2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3월 산업통상자원부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전력시장·요금 안정화 대책으로 △발전용 연료 세율의 한시적 인하 △SMP(전력도매가격) 상한제 개편 △발전비용 과다 정산요인 제거 △석탄상한제 탄력 시행 방안 등을 발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민재 NH투자증권은 "문제는 전기요금 인상없이 위에 언급된 대책들은 한국전력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점, 또한 대책별로 부작용도 있기 때문에 논란이 생길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가령 석탄상한제 탄력 시행시 석탄발전 이용률 1%포인트에 연료비를 약 3000억원 절감할 수 있지만 그만큼 탄소배출량이 늘어나 탄소배출권 추가 구입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단 것이다. 아울러 SMP 상한제나 발전용 연료 세율의 한시적 인하의 경우도 정부의 세금이 줄어들거나 민자발전사에게 짐을 지운다는 측면에서 부정적이란 설명이다.
무엇보다 이 연구원은 "발전용 연료의 국제가격 하락은 단기간에 발생하기 어려울 전망"이라며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쟁으로 가스 발전을 주로 사용하는 국가들은 모두 한국과 같은 상황이고 석탄발전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할수밖에 없다"고 했다. 국제 석탄가격은 최근 일주일간 10% 상승해 전 세계적으로 석탄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연구원은 "이와 같은 상황이 지속될 경우 한국전력의 연결기준 자본은 15조원 이상 감소하는 재무적인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며 "따라서 원자력이나 재생에너지에 대한 계획된 수준만큼 투자를 할 수 없는 상황이 나타날 전망"이라고 봤다.
그는 인수위도 이런 점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대통령 취임 후 한국전력의 현재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우호적인 대책이 나올 것으로 예상했다. 예를 들면 원자력 발전소 증설이나 전기요금 인상 계획,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같은 재무구조 개선 방안 등과 같은 근본적인 대책들이 논의될 수 있단 것이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173cm' 장원영, 다리 얼마나 길면…"짧아보이게 줄여요" - 머니투데이
- 치과의사 이수진 "전남편, 피자 잘못 잘랐다고 임신한 나를 폭행" - 머니투데이
- "강간 당하지 않으려면"...머리 싹둑 자르는 우크라 소녀들 - 머니투데이
- '전현무와 결별' 이혜성, 퉁퉁 부은 얼굴로 등장…영상서 한 말 - 머니투데이
- "아이유한테 왜 오라가라?"…피오 '부대 방문' 부탁에 누리꾼 '시끌' - 머니투데이
- "임신 계획 중, 이날 부부관계" 여사친에 이런 말까지…이혼 될까요?[이혼챗봇] - 머니투데이
- "각서에 30억 배상 써 있었다"…손흥민 임신 협박범 제보 녹취록엔 - 머니투데이
- "7%p 올라 50% 됐다"…'이재명 호감도 급상승' 알고보니 - 머니투데이
- 카이 "휴대 전화? 불행의 원천…SNS 알고리즘 스트레스" - 머니투데이
- '고기 마니아' 이장우, 정육 기술까지 접수 "보통 기술 아냐"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