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게 먹으려면 이번 주 안에.." 가격 반값 된 이유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러시아산 대게 시세가 폭락했다.
7일 노량진 수산물도매시장 수산물 가격 정보에 따르면 이날 러시아산 활어 대게 평균 낙찰가는 1kg에 42400원이다.
지난달 초만 해도 러시아산 대게 평균 낙찰가는 1kg당 5만원 초·중반대를 웃돌았던 바 있다.
이 때문에 국내 수산물 도매업자들이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재고 부족을 우려해 대게 물량을 많이 확보한 것도 가격 하락의 원인이 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산시장 상인들 "이번주가 마지막 기회"
러시아산 대게 시세가 폭락했다.
7일 노량진 수산물도매시장 수산물 가격 정보에 따르면 이날 러시아산 활어 대게 평균 낙찰가는 1kg에 42400원이다. 심지어 지난 5일의 평균 낙찰가는 2만8천원대였다. 지난달 초만 해도 러시아산 대게 평균 낙찰가는 1kg당 5만원 초·중반대를 웃돌았던 바 있다. 심지어 작년 12월에는 7만원 선에서 거래됐다.
대게 값이 내린 것 중 첫 번째는 중국 봉쇄와 영향이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한다. 중국으로 향하던 러시아산 대게 물량이 우리나라로 들어왔고 공급 부족을 우려한 수입업자들이 대게 물량을 확보한 것이 대게값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
또, 다른 나라의 러시아 수산물 수입 제재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러시아 수산물 수입을 금지했고, 일본도 관세 부과를 통해 수입을 줄였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러시아산 수산물 수입에 대해 별도 제재를 내놓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국내 수산물 도매업자들이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재고 부족을 우려해 대게 물량을 많이 확보한 것도 가격 하락의 원인이 됐다.
하지만 이런 하락은 길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수산시장 상인들에 따르면 "이번주가 마지막 기회"라는 것. 국내로 들여온 재고 물량이 소진되고 중국이 봉쇄를 풀어 소비가 살아나면 가격이 예전의 가격을 찾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 '대게 파티' 여는데…日 초밥집 "절망적 상황" 눈물, 왜?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
- 강용석, 국민의힘 복당 무산…이준석 "다수 반대"
- 한채영 닮은꼴에 억대 연봉까지…'나는 솔로' 또 역대급 스펙
- 집값 폭등에 2년간 외국인 주택매입 금지 추진
- "연봉 절반 썼는데도 안 아깝다"…2300만원 매트리스 어떻길래
- "제정신 아니었다"…홍진영, 1년 5개월의 자숙 끝 고백 [인터뷰+]
- "영끌해서 집을 샀습니다"…김광규, 56년 만에 자가 마련 ('나혼산')
- 안정환♥이혜원 딸 리원, 반전 핫보디
- 정호연, 미국서 더 잘나가네…조니 뎁 딸과 영화 공동 주연
- 尹 집앞서 포착된 홍선영…홍진영 "피해준 것 같아 미안하다더라" [인터뷰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