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평성 논란 커지는 '윤석열표 1억 통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뜨거운 감자' 청년도약계좌
주식·채권·예금형 중 택1
정부, 月 최대 40만원 지원
10년 만기 채우면 1억 마련
尹측 '희망적금서 전환' 허용 검토
취업준비생 등은 가입 못해 논란
'최소 수십조원' 재원마련도 숙제
주식·채권·예금형 중 택1
정부, 月 최대 40만원 지원
10년 만기 채우면 1억 마련
尹측 '희망적금서 전환' 허용 검토
취업준비생 등은 가입 못해 논란
'최소 수십조원' 재원마련도 숙제

청년도약계좌 뭐길래

ADVERTISEMENT
청년도약계좌는 소득이 낮을수록 정부 장려금이 늘어나는 구조로 설계됐다. 예를 들어 연소득이 2400만원 이하의 가입자가 매달 30만원을 저축하면 기본 장려금(20만원)과 저축비례 장려금(최대 20만원)이 더해져 최대 70만원이 쌓인다. 연소득 2400만~3600만원과 3600만~4000만원 구간에서는 가입자가 각각 최대 50만원과 60만원을 넣을 수 있고, 정부 장려금은 각각 20만원, 10만원 한도로 지급돼 총 70만원이 채워진다. 연소득 4800만원 이상 가입자는 정부 지원 없이 비과세·소득공제 혜택만 받을 수 있다.
윤 당선인 측은 기존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도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청년희망적금에 대한 정부 장려금(2년 만기 기준 최대 36만원)에 비해 지원 혜택이 훨씬 크고, 비과세 등 최소 혜택만 받아도 연 3.5%의 금리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ADVERTISEMENT
수십조원 예산 어쩌나…
다만 막대한 재원 조달 방안과 형평성 논란 등은 풀어야 할 숙제다.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한 290만 명이 모두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고 최소 지원금(10만원)만 받는다고 가정해도 매년 3조원의 정부 예산이 소요된다. 만 20~34세 취업자 전체(약 630만 명·지난해 7월 기준 통계청 자료)를 고려할 때 10년 만기 기준 소요 예산이 수십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추산이 나온다.금융권 관계자는 “취업하지 못한 취업준비생이나 만 34세를 갓 넘긴 중·저소득층 청년들이 가입 대상에서 배제된 데 대해서도 벌써부터 ‘갑론을박’이 빚어지고 있다”며 “지원 혜택이 큰 만큼 이 같은 형평성 논란이 확대될 가능성도 적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