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중앙공무원·군인 4000여명 '과부하' 보건소 투입"(종합)
부처 3000명·국방부 1000명…재택치료 안내
"네이버·카카오 동네 병·의원 검색 기능 추진"
소아·청년 방역조치 해제 난색…"전파 가능"
![[세종=뉴시스]권덕철 보건복지부(복지부) 장관이 2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출입기자들과의 비대면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복지부 제공) 2022.02.2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2/02/24/NISI20220224_0000939596_web.jpg?rnd=20220224132051)
[세종=뉴시스]권덕철 보건복지부(복지부) 장관이 2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출입기자들과의 비대면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복지부 제공) 2022.02.2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셀프관리' 대상인 일반관리군이 비대면 진료(전화 상담)를 받을 수 있는 동네 병·의원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네이버·카카오 등 포털사이트 지도에서 확인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25일 오전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서 전화인터뷰를 통해 "4000여명의 중앙정부·국방부 인력을 보건소에 파견하려고 한다"며 "그러면 (보건소 인력 상황이) 더 나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앞서 오는 28일부터 최소 1개월간 중앙정부 공무원을 파견해 기초역학조사와 문자 발송, 증상 유선확인 등의 업무를 맡기겠다고 밝힌 바 있다.
보건소에 투입될 인력은 42개 중앙행정기관에 소속돼 있는 공무원 3000명, 군 인력 1000명이다. 이들은 투입 전 중앙사고수습본부와 중앙방역대책본부의 사전교육을 받는다.
정부와 방역 당국은 지난 3일부터 재택치료 모니터링을 고위험군에 집중하고 있다. 60세 이상 고령층 등 고위험군은 집중관리군으로서 산소포화도 측정기 등 재택치료키트를 받고 하루 2번 모니터링을 받지만 일반관리군은 스스로 몸 상태를 살피다가 악화될 때 동네 병·의원을 통해 전화 상담 및 약 처방을 받아야 한다.
25일 0시 기준 재택치료 대상자는 65만181명이며, 이 중 고위험군인 집중관리군은 9만2751명(14.3%)이다.
확진자가 폭증하다보니 각 지역의 보건소에서 재택치료 대상인지 입원 대상인지, 재택치료 관리군을 분류하고 안내하는 데 부하가 걸리는 상황이다. 보건소는 방역 외 업무가 일시 중단된 상태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통제관도 이날 오전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오미크론 확산으로 인해 보건소의 업무가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한 몸이 되어서 공동으로 대응함으로써 보건소의 업무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일반관리군이 이용할 수 있는 '코로나19 전화상담 병·의원은 23일 기준 전국에 6930곳이 있다. 병·의원 목록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hira.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권 장관은 일반 국민들이 코로나19 전화 상담이 가능한 네이버·카카오 포털 등에서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개선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재택치료 일반관리군을 위한 동네 병의원을 6900여개로 확충하고 있다"면서 "네이버·카카오에서 검색해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들려고 한다. 그러면 좀 더 불편이 좀 줄어들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코로나19 확진 후 위중증으로 이어질 위험이 낮은 소아·청소년과 청년에 대해서는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등 방역 조치를 해제하면 어떠냐는 질문에 대해 권 장관은 "(젊은 연령층이)활동하면서 (바이러스)전파는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 확진자 동거가족에 대한 격리도 엄격하게 하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공감언론 뉴시스 dyhlee@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