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가 11일 오후 서울 중구 매경미디어센터에서 열린 한국기자협회 주최·방송 6개사 공동 주관 '2022 대선후보 초청 토론'에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22.2.11 [국회사진기자단] toadboy@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동현 강민경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11일 청년에게 연간 100만원의 청년기본소득을 주겠다는 이 후보 공약을 두고 논쟁을 벌였다.
안 후보는 이날 한국기자협회 주최로 열린 '2차 TV토론'에서 "(청년기본소득 예산) 7조원을 청년들을 위한 주택 마련에 전부 투자하는 게 더 좋은 방안이 아닌가"라고 물었다.
이에 이 후보는 "주택 문제는 별도로 해결해야 한다. (전국) 311만호 총공급량의 30%를 우선 분양 받거나 기본주택으로 공급받을 기회를 별도로 만들어야 한다"고 답했다.
그러나 안 후보는 "많으면 한 300조원 정도가 지금 기본주택에 드는 것인데 그게 현재 우리나라 예산의 절반 아닌가. 그 막대한 돈을 어디서 우리가 구할 수가 있는 건가"라고 추궁했다.
이 후보는 "300조가 든다는 건 전혀 사실이 아니다. 그건 현금으로 지을 때다. 이건 현금으로 짓는 게 아니고 보증금, 주택보증기금도 있기 때문에 그렇게 많이 들지는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미지 확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
[국회사진기자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안 후보는 다시 "보증금만으로는 안 된다. 분양한다면 또 제가 이해는 하겠습니다만 그것 자체가 대출이기 때문에 문제다"라고 반박했다.
이에 이 후보는 "(청년들이) 지금 희망을 가지기 어려워서 결혼도 포기하고 다음 세대는 나보다 더 어려워 질 것이라 믿으니까 출산도 포기하는 아주 심각한 상황이다. 소득보전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아버지를 부양하는 2만원이 없어서 유기치사죄로 처벌받는 청년도 있다"며 "제가 7천원이 있었으면, 기본소득이 있었으면 제가 공장 다니면서 이렇게 고생하지 않고 공부했을 것이다. 그런 기회를 주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bluekey@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2022/02/11 21:02 송고2022년02월11일 21시02분 송고
(서울=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가 11일 오후 서울 중구 매경미디어센터에서 열린 한국기자협회 주최·방송 6개사 공동 주관 '2022 대선후보 초청 토론'에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22.2.11 [국회사진기자단] toadbo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