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文 부동산정책 매우 잘못"…윤석열 "주택에 중복과세는 부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동산
李 "대대적 공급 확대가 정책 1순위…文정권 후계자 아냐"
尹 "대출 규제부터 완화해 집 구하는데 걸림돌 없애겠다"
安 "자가보유율 80%까지"…沈 "종부세로 지역 균형발전"
李 "대대적 공급 확대가 정책 1순위…文정권 후계자 아냐"
尹 "대출 규제부터 완화해 집 구하는데 걸림돌 없애겠다"
安 "자가보유율 80%까지"…沈 "종부세로 지역 균형발전"

#2. “종합부동산세를 지역 균형발전에 쓰지 않습니까?”(심상정 정의당 후보) “집에 대해 두세 가지 과세를 하는 건 합당하지 않습니다.”(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ADVERTISEMENT
李 vs 尹 신경전
이 후보와 윤 후보는 부동산 정책 방향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 후보는 “수요와 공급이 적절하게 작동하는 시장에 의해 주택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지나치게 공급을 억제했다”며 “대대적 공급 확대가 정책의 제1순위”라고 강조했다. 반면 윤 후보는 “내 집이든 전셋집이든 일단 집을 구하는 데 걸림돌이 되는 제도를 제거해야 될 것 같다”며 “먼저 대출 규제를 완화해서 집을 사는 데 대출을 쉽게 받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어 “전셋값 상승을 가져올 임대차 3법(계약갱신청구권제·전월세상한제·전월세신고제)을 먼저 개정하겠다”고 덧붙였다.이 후보와 윤 후보는 서로의 공약을 두고 기싸움을 벌이는 모습도 보였다. 이 후보는 “윤 후보가 LTV(담보인정비율)를 90%로 완화하겠다는 공약을 냈다”고 했다. 그러자 윤 후보는 “초기부터 80%를 고수했다”고 반박했다. 이 후보는 “팩트체크는 언론에서 할 것”이라며 “최초 무주택자에 한해 LTV 90%를 인정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ADVERTISEMENT
“공급 부족” vs “국가 개입”
이 후보는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실책에 대한 책임론에 휩싸였다. 안 후보가 “이 후보는 문재인 정권의 후계자가 맞느냐”고 포문을 열었다. 이 후보는 “후계자는 아니다”며 “새로운 이재명 정부를 만들고자 하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안 후보는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몇 점으로 평가하느냐”고 재차 몰아쳤다. 이 후보는 “점수를 숫자로 매기기 어려운데 매우 잘못된, 부족한 정책이었다”며 “저희가 여러 차례 사과했다”고 답했다.안 후보는 윤 후보에게 “주무 장관을 대상으로 부동산 정책 실패에 대해 국회 청문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후보 생각은 어떻냐”고 묻기도 했다. 윤 후보는 “반성하거나 개정의 의지가 없기 때문에 답은 정권교체밖에 없다”고 답했다.
이 후보는 집값 폭등의 원인을 두고 “공급 부족에다 수요가 왜곡됐다”며 “임대사업자 보호 정책 때문에 그랬을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안 후보는 “한마디로 부동산 국가주의 때문”이라며 “시장을 국가가 마음대로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게 부동산 국가주의”라고 꼬집었다. 안 후보는 “현재 62%인 자가 보유율을 80%까지 끌어올리겠다”고 장담했다.
ADVERTISEMENT
“규제 완화” vs “규제 강화”
부동산 세금과 대출 규제 완화를 내건 윤 후보는 ‘3채 소유 금지’ 등 부동산 규제를 내세운 심 후보의 공세에 시달렸다. 심 후보는 “(윤 후보가) 민간 개발을 완화해서 공급을 늘려 집값을 잡겠다고 호언장담했다”며 “집값 폭등이 공급 부족이라고 얘기하는 건 전형적인 건설업자 논리”라고 주장했다.윤 후보는 “전국적인 주택 공급 숫자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며 “국민이 실제 필요하고 수요가 있는 곳에 공급을 늘려야 한다”고 반박했다.
심 후보는 재산세와 종부세 통합을 핵심으로 하는 윤 후보의 공약도 저격했다. 심 후보는 “종부세는 어려운 지방에 전액 지급해 균형 발전을 도모하고 있지 않으냐”며 “종부세는 강남에서 걷은 걸 전라도에 주는 것”이라고 했다. 윤 후보는 “지역 균형 발전은 종부세 말고도 쓸 수 있는 여러 예산이 많다”고 되받아쳤다.
ADVERTISEMENT
조미현/김인엽/성상훈 기자 mwise@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