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심리 상승 전환..주택가격전망은 5개월 연속 하락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방역조치 강화에 따라 코로나19 위험도가 낮아지면서 소비심리가 전월 대비 상승했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1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제생활에 대한 심리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104.4로, 12월보다 0.6포인트 상승했다.
황희진 한은 통계조사팀장은 "소비자심리지수는 위드코로나 이후 확진자 증가로 지난 달 하락했다가 방역조치 강화에 따라 코로나 위험도가 낮아지면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 방역조치 강화에 따라 코로나19 위험도가 낮아지면서 소비심리가 전월 대비 상승했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1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제생활에 대한 심리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104.4로, 12월보다 0.6포인트 상승했다. 지난 9월(103.7), 10월(106.7), 11월(107.6)까지 석 달 연속 올랐던 소비심리는 12월(103.8) 내림세로 전환했다가 다시 오름세로 돌아섰다.
소비자심리지수를 구성하는 6개 항목 가운데 향후경기전망(+5포인트)의 상승폭이 가장 컸고, 소비지출전망(+1포인트)도 상승했다. 반면 현재경기판단(-3포인트)은 전월대비 하락했다.
주택가격전망(100)은 아파트 매매가격 오름세 둔화되는 가운데 금리상승, 가계대출 규제 등으로 5개월 연속 하락했다. 지난 1년간 소비자 물가 상승률에 대한 인식(물가인식)과 소비자들이 예상하는 향후 1년간 물가 상승률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각각 2.7%, 2.6%로 전월과 동일했다.
금리수준전망(139)은 기준금리 추가 인상 예상과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상승했다. 취업기회전망(92)도 경제회복 기대심리가 호전되면서 3포인트 상승했다.
황희진 한은 통계조사팀장은 "소비자심리지수는 위드코로나 이후 확진자 증가로 지난 달 하락했다가 방역조치 강화에 따라 코로나 위험도가 낮아지면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옷 맞다 vs 아니다…축구팬들 난리난 女 리포터 의상을 보니 - 아시아경제
- 화장실서 만지면 위험한 물건…"손 씻어도 소용없어" - 아시아경제
- 수박 값도 더위 먹었나…비싼 가격에 '땀 뻘뻘' - 아시아경제
- "차박, 어디까지 해봤니?"…일본 편의점서 파는 '1박 3만원' 상품 - 아시아경제
- 117년만에 가장 뜨거운 7월…언제까지 덥나요 - 아시아경제
- "일본 지진 무섭고 이젠 싸다 못 느껴"…'7말8초' 여행 훌쩍 1위한 이 곳 - 아시아경제
- "이게 실수라고? 해명하라"...SRT 특실 간식박스에 '일장기' 펄럭이는 거북선이 - 아시아경제
- 짜장면 1000원, 탕수육 5000원…"이 가격 실화" 난리난 중식당 - 아시아경제
- "죄 없는 러브버그 학살 멈춰" 환경운동가의 읍소, 알고보니 - 아시아경제
- 검은 고양이 옷 입고 밤마다 '야옹'…주민들 놀래킨 英 남성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