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 나노신소재공학과 김기범 교수 연구팀, 컬러 합금·성형기술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종대학교는 나노신소재공학과 김기범 교수 연구팀이 전이 에너지와 상 제어 기술을 활용한 Brilliant 컬러 합금·성형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김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컬러 합금 기술은 금속 자체 색상을 구현하는 기술로 기존에 사용되던 표면 처리 공정의 단점을 보완했다.
김 교수 연구팀은 2016년부터 기존의 합금 소재 컬러 구현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유색금속에 대한 개발을 진행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종대학교는 나노신소재공학과 김기범 교수 연구팀이 전이 에너지와 상 제어 기술을 활용한 Brilliant 컬러 합금·성형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김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컬러 합금 기술은 금속 자체 색상을 구현하는 기술로 기존에 사용되던 표면 처리 공정의 단점을 보완했다. 영구적으로 색을 유지하면서 금속 특유의 질감과 광택을 강조할 수 있는 기술이다.
김 교수 연구팀은 2016년부터 기존의 합금 소재 컬러 구현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유색금속에 대한 개발을 진행했다.
김 교수 연구팀의 개발 결과는 'Recent Development of Coloring Alloys' 라는 제목으로 2021년 소재 분야 상위 1.27%인 국제저널 'Progress in Materials Science(Impact factor 37.35)'에 논문으로 게재됐다.
김 교수는 "유색금속은 자동차 가니쉬 적용 소재 산학 연구를 진행하며 산업적으로 활용도가 높은 소재라 생각했다"며 "현재까지 다양한 유색 합금을 개발하고 있다. 자동차 내장재뿐 아니라 가전기기 및 고부가가치 금속 소재에 적용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 연구팀은 국내 삼성전자, 현대차, LG전자/가전과 공동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국외에서는 스위스에 있는 Richemont Group의 Frederic Diologent과 공동 연구 수행을 협의하고 있다.
김성준기자 illust76@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미성년 동성과 성관계 위해 아파트 출입한 남성…대법 "주거침입 아냐"
- "서울에 집 있고 월급도 400만원 넘는데 장가가기 힘드네요"…이유 들어보니
- `여직원과 성관계` 맥도날드 전 CEO 최후…"퇴직금 1200억원 반납"
- "집주인이 석달 뒤 방 빼라네요" 궁지 몰린 세입자가 선택한 반전 결말
- 2030세대 분노 폭발 "월세 20만원 지원받기 위해 가난 증명해야 하나"
- 이른 나이부터 AI에 노출된 아이들… 혼란에 대한 책임은 누가?
- 미중 관세 극적 타결…美 대중관세 145%→30%, 中 대미관세 125%→10%
- 첫날부터 불 뿜은 유세현장…이재명 "내란 종식" 김문수 "민생" 이준석 "협치"
- 중소기업계 "차기정부 경제성장 견인·중소기업 중심 경제 구조 대전환 필요"
- `수주 호황` 이어가는 조선 3사, 연간 목표 초과 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