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VIP
통합검색

10명 중 6명 "내년에 집 사겠다"…매입 대상은 '구축 아파트'

머니투데이
  • 방윤영 기자
  • 카카오톡 공유하기
  • 카카오톡 나에게 전송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 텔레그램
  • 문자
  • 글자크기조절
직방 '2022년 주택매입 계획' 설문조사 주택 매입 계획 유무 조사결과 /사진=직방
직방 '2022년 주택매입 계획' 설문조사 주택 매입 계획 유무 조사결과 /사진=직방
10명 중 6명이 내년 주택을 매입할 계획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매입 방법으로는 구축 아파트를 사겠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15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직방이 자사 앱 이용자 2042명을 대상으로 '2022년 주택 매입 계획'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전체 응답자 중 64.1%(1309명)가 내년에 주택을 매입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매입 계획 응답 비율은 조사를 시작한 2020년 이후 소폭 줄어들었다. 이 비율은 2020년 71.2%, 2021년 69.1%였다. 최근까지 이어진 주택가격 상승세 둔화 등 향후 가격이 조정될 가능성에 따라 관망하는 움직임이 커지면서 주택을 매입하려는 움직임이 예년에 비해 다소 주춤해진 것으로 직방은 분석했다.

이 비율은 지역별로 보면 △지방 69.8% △경기 66.5% △5대광역시 62.8% △인천 62.1% △서울 57.2% 순으로 높았다.

매입방식으로는 '기존 아파트를 구매하겠다'는 응답이 37.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규 아파트 청약 32.7% △연립 빌라 10.2% △아파트 분양권·입주권 8.9% △단독주택 5.4% △오피스텔 청약·매입 3.6% 순으로 나타났다.


기존 아파트를 매입하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지만 비율은 매년 감소하고 있다. 반면 신규 아파트 청약을 계획하는 응답자는 2020년 24.9%, 2021년 29.1%, 2022년 32.7% 등으로 증가 추세다. 기존 아파트 가격 상승 부담과 맞물려 올해 시작된 3기 신도시 사전청약 등으로 분양시장에 관심이 커진 탓이라는 분석이다.

이어 연립·빌라는 2021년 8.4%에서 내년 10.2%로, 단독주택은 4.3%에서 5.4%으로 소폭 증가했다. 오피스텔 청약·매입도 1.3%에서 3.6%로 늘었다.

내년 주택매입 계획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 중 주택 비용은 '3억원 이하'가 38.3%로 가장 높았다. 이어 △3억원 초과~5억원 이하 33.8% △5억원 초과~7억원 이하 15.4% △7억원 초과~9억원 이하 6% △9억원 초과~11억원 이하 2.3% △15억원 초과 2.1%로 조사됐다.
직방 '2022년 주택매입계획' 설문조사 주택매도 계획 유무 조사 결과 /사진=직방
직방 '2022년 주택매입계획' 설문조사 주택매도 계획 유무 조사 결과 /사진=직방
내년 주택 매도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전체의 58.6%가 '없다'고 답했다. 응답자를 연령별로 보면 60대 이상은 절반 이상(59.7%)이 집을 팔겠다고 답했다. 40~50대도 40% 이상이 매도 의사를 밝혔다.

직방 관계자는 "2022년에는 주택 매입 수요가 소폭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며 "기준금리 인상과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등 규제 강화가 내년에도 이어질 예정으로 매수 관망 속에서 내집 마련, 거주지나 면적 이동 목적의 실수요자 위주로 움직임이 나타날 전망"이라고 밝혔다.



머니투데이 주요뉴스

"아름답다" 젠슨 황이 사랑한 SK하이닉스 '신무기'
네이버 메인에서 머니투데이 구독 다음 언론사 홈에서 머니투데이 구독

베스트클릭

이슈패키지

오늘의 꿀팁

  • 뉴스 속 오늘
  • 더영상
  • 날씨는?
  • 헬스투데이

많이 본 뉴스

마르크 샤갈 특별전
미피의 마법우체통

포토 /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