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 '화상상담 서비스' 시행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KB국민은행은 이용채널에 제한없이 대면 수준의 금융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KB 화상상담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KB 화상상담 서비스는 대면과 비대면의 장점을 접목해 전문화된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구현했다"며 "향후 디지털 무인점포, 편의점 및 KB금융그룹 계열사 연계 등을 통해 다양한 고객접점을 만들어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 화상상담 서비스’는 화상상담을 위해 별도의 앱 또는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없는 웹방식 서비스로 신분증 촬영, 비밀번호 확인 등 비대면 실명확인 절차를 통해 상담뿐만 아니라 금융상품 가입까지 가능한 서비스다.
예·적금 신규, 신용대출과 같은 상담 업무에서 시작해 금융투자상품 등으로 업무 범위를 확대하고 화상상담 직원들의 전문적인 금융상담을 통해 영업점 창구 수준 이상의 업무처리가 가능하도록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KB국민은행은 혼잡점포를 중심으로 화상상담 전용창구를 우선 시행해 고객 편의성을 향상시켰다. 화상상담 전용창구가 설치된 영업점에 방문한 고객은 디지털 서포터즈의 안내를 받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5개 점포의 화상상담 전용창구를 시작으로 향후 인터넷뱅킹, KB스타뱅킹까지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KB 화상상담 서비스는 대면과 비대면의 장점을 접목해 전문화된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구현했다”며 “향후 디지털 무인점포, 편의점 및 KB금융그룹 계열사 연계 등을 통해 다양한 고객접점을 만들어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유수환 기자 shwan9@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확증 편향 막자’ vs ‘공소 유지 흔들’…국민참여재판 지침 개정 논란
- LG전자, 체질개선 칼 빼드나…전사로 ‘희망퇴직’ 확산
- ‘일반약 판매권’ 전쟁에…대통령실 앞에 선 약사·한약사
- 장애와 비장애 ‘경계’에 선 청년들…법적 지원 사각지대
- 러닝 붐 타고…유통업계, ‘달리는 소비자’ 잡는다
- 한수원이 쏘아올린 에너지公 사장 인선…조직재편 후 격변 전망
- “추석 때 댕댕이 맡아드려요”…서울 자치구 반려견 돌봄쉼터 운영
- 공공의료원 인력난 심각…10곳 중 8곳은 의사·간호사 수 ‘정원 미달’
- 관세협의 후 귀국한 통상본부장 “美측에 한국과 일본은 다르다고 최대한 설명”
- 김용현 측, 내란 재판부 기피 신청…특검 “소송 지연 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