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물가상승 10년 만에 최고치, 정책수단 총동원해 잡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물가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어제 통계청에 따르면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 동기 대비 3.7%에 달했다.
1∼11월 물가 상승률은 2.3%다.
한국은행은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1월 전망 수준(2.3%)을 다소 상회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통계청은 “국제유가나 곡물·원자재 가격 추이를 볼 때 석유류 등 공업제품 가격의 오름세가 둔화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12월 물가도 상당폭의 오름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12월에는 국제유가 상승세 진정 등으로 물가 상승 폭이 둔화할 것”이라고 전망한 것과 차이가 크다. 물가 관리에 대한 정부의 안이한 인식이 우려된다.
1∼11월 물가 상승률은 2.3%다. 정부의 ‘연간 2.0% 이내’ 물가 관리 목표 달성은 사실상 물 건너갔다. 한국은행은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1월 전망 수준(2.3%)을 다소 상회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그제 발표한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2.2%에서 2.4%로 상향 조정했다. 물가 상승의 피해는 서민에 크게 나타난다. 한은이 어제 발표한 3분기 국민소득에 따르면 국민의 실질 구매력을 보여주는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 분기 대비 0.7% 감소했다. 물가 상승은 가벼워진 지갑 두께를 더 줄이는 결과를 낳는다. 물가 상승으로 금리가 오르면 이자 부담도 늘어난다. 국민의 살림살이가 더욱 팍팍해지는 것이다.
정부는 이제부터 모든 정책수단을 동원해 물가를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이다. 정부는 분야별 물가 부처 책임제 도입, 지자체 물가상황실 가동 등의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지만 이런 두루뭉술한 조치로 물가를 잡을 수 있을지 의문이다. 코로나19 사태로 경제적 타격을 입은 서민에게 희망을 주려면 물가 관리에 정책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내 이효리한테 꿀리지 않는다’ 금수저 이상순의 어마어마한 재력
- 남편 도경완 불치병 진단 3달 만에 장윤정도 시술…이게 다 무슨 일?
- 자수성가한 줄 알았는데…백지영, 엄청난 재력가 집안 딸이었다
- 상간녀 3명과 불륜설 겪은 탁재훈 “바람 때문이었으면 이혼 안 했다”…진실은?
- “이규혁한테 속았다, 결혼 후회” 손담비, 눈물 쏟으며 밝힌 남편 ‘만행’
- ‘도박·외도’ 김학래 만행에도 “이혼 안 해” 선언한 임미숙, 대체 왜?
- 이혼 7년차 돌싱 안재현, 전처 향한 의미심장 발언…구혜선은 새 출발 알려
- “내 사전에 이혼은 없을 줄 알았다” 조윤희가 직접 밝힌 이동건과의 이혼 사유
- 정동원은 임영웅을 ‘형’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특별한 애칭 공개
- 생방 중 김혜경 여사 머리 밀친 카메라…대통령실 “각별한 주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