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1인당 50만원' 산후조리비 24일부터 온라인 신청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기도가 거주 기간에 상관없이 출산가정에 50만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하는 '산후조리비'의 신청 방식을 24일부터 온라인으로 확대한다.
도에 따르면 산후조리비 지원사업은 산모·신생아의 건강 보호와 저출산 극복을 위해 2019년 처음 도입됐다.
이번 신청 방식 개선으로 경기도 행정서비스 통합포털인 '경기민원24'에 온라인 접수창구가 새롭게 마련됐다.
산후조리비 지원사업은 민선7기 경기도가 무상교복·청년기본소득과 함께 3대 무상복지 사업으로 추진해온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도에 따르면 산후조리비 지원사업은 산모·신생아의 건강 보호와 저출산 극복을 위해 2019년 처음 도입됐다. 1년 이내에 출생한 아이가 있는 가정을 대상으로 출생일과 신청일 모두 경기도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으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번 신청 방식 개선으로 경기도 행정서비스 통합포털인 ‘경기민원24’에 온라인 접수창구가 새롭게 마련됐다. 온라인 신청은 연중 어느 때나 가능하다. 다만, 외국인의 경우 온라인에서 외국인등록사실증명서를 처리할 수 없어 기존 방식대로 주민센터를 방문해야 한다.
앞서 도는 2019년부터 지난 9월까지 2년9개월간 20만6000여가구에 산후조리비를 지원했다. 해당 가구는 지역화폐를 받아 산후조리(산후조리원 이용 본인부담금), 모유수유용품(유축기·수유쿠션 등), 산모용품(영양제·의류 등), 신생아용품(내의·기저귀 등), 산모건강관리(한약·영양제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도 관계자는 “신청 방법의 개선을 원하는 도민 바람에 따라 접수처를 온라인까지 확대했다”고 밝혔다.
현재 전국의 광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산후조리비를 직접 지원하는 곳은 경기도가 유일하다. 다른 광역지자체의 경우 ‘출산장려금’이나 ‘육아수당’ 형태로 비용을 지원하고 있다.
부산시는 저출산 위기 극복을 위해 첫째 200만원, 둘째 이후 추가 100만원의 출산장려금을 지원하고 있다. 자녀 수와 상관없이 0~1세 양육비로 1인당 30만원도 일괄 지급한다. 도내 다수 시·군이 인구감소지역으로 분류된 강원도는 2019년 지자체 처음으로 육아기본수당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1인당 월 30만원을 4년간 지원하는 형식으로, 정부가 지급하는 아동수당이나 가정양육수당과는 별개다.
수원=오상도 기자 sdoh@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그냥 못 보겠다”…백종원, ‘90도 사과’ 뒤 곧장 달려간 이곳
- “보기 싫어!” 이재명 얼굴 친 이재민…지지자들, 기부 ‘취소’ 행렬
- 연애 10일 만에 결혼·11년 만에 강제 이혼…두 아들맘 강성연 “사랑인 줄 알았는데 아니었다”
- “기성용한테 성폭력당했다” 폭로하더니…2억대 항소심도 패소
- 첫사랑 남편과는 이혼·아들은 사망설…국민배우 고두심 “세상 모든 슬픔 다 짊어진 것 같아”
- “아침에 씻을 거니까” 샤워 안 하고 그냥 잤다간…의사들의 경고 나왔다
- 낙상 아니었다…국민 MC 故 송해, 뒤늦게 밝혀진 사망 원인
- ‘200억 현금 부자’ 성동일, 밑바닥 딛고 이룬 빚 없는 인생
- “입사 3년 됐는데 희망퇴직 하래요”… ‘이 회사’ 경영난 어느 정도길래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