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라이브] 코로나19 위험도, 수도권 '매우높음'..정부 "비상계획 단계는 아니다"

YTN 2021. 11. 23. 10:1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진행 : 김선영 앵커, 김대근 앵커

■ 출연 : 정기석 /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코로나 상황, 전문가와 알아봅니다. 정기석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모셨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여러 가지 지표가 상당히 우려스럽기는 한데요. 정부에서도 수도권 같은 경우에는 위험도 평가에서 이번에는 매우 높음이라고 그랬어요. 어떤 요인 때문일까요?

[정기석]

최근까지 왔던 그런 모든 지표들이 다 나빠졌으니까 매우 높음으로 가는 건 너무나 당연한 건데요. 사실 며칠 전에 발표했던 그 지난주의 발표는 그냥 가운데 정도였다, 중간이어서 사람들이 이상하다 생각을 했죠. 그런데 지금 저 지표 새로 만들어서 17개의 복잡한 지표를 가지고 5개로 나누고 있습니다마는.

한 가지 아쉬운 것은 많은 노력에 의해 저 지표를 만들었고 가치가 있습니다마는 한 가지 아쉬운 것은 우리가 앞으로 보면서 미래를 앞으로 적어도 며칠 뒤나 일주일 뒤를 예측하면서 저 지표가 나와야 되는데 지금 오롯이 지난주 지표만 보는 것이거든요.

그래서 앞으로 우리가 뭘 준비해야 될지 비상계획은 당장 실천 안 하더라도 뭘 더 해야 될지에 대한 어느 정도의 규모가 나와야 됩니다.

우리가 병실 부족한 거 다 알지 않습니까? 그러면 몇 개나 부족할 것이고 그다음에는 더 부족하면 어떻게 될지 이런 예측을 해가면서 소위 우리가 예측 가능한 방역을 한다는 의미에서는 조금 내용이 아쉽다, 그런 말씀도 드립니다.

[앵커]

그렇군요. 일주일 만에 위험도가 두 단계나 뛴 상황인데 여기에서 중요하게 봐야 될 게 수도권 중환자 병상 가동률이 83%나 되고요. 또 하루 이상 병상 대기하는 환자가 900명 정도로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거든요. 이건 어떻게 봐야 될까요?

[정기석]

이 병상 가동률이라는 거는 여러분들이 100%까지 올라가야 병상 가동이 다 되는 거라고 생각하시는데 실제로 우리가 병상 가동률을 계산할 때는 그렇게 나오지 않습니다.

90%가 넘어가면 거기에는 더 이상 입원이 안 된다고 보셔야 되는 겁니다.

그래서 지금 84%, 85% 나오는 거는 거의 뭐 제가 턱에까지 찼다는 말씀을 지난주에 드렸습니다마는 이제는 코를 덮고 있다. 그런 상황이기 때문에 조금 더 한정된 자원을 갖고 특히 중환자실 의료인력과 그다음에 여러 가지 장비들을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조금 더 효율적으로 운영할 방법을 중환자의학회 쪽에서 이미 제시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도 몇 번 말씀을 드렸는데 그 방향으로 가는 것이 비상계획을 실천하지 않고 갈 수 있는 길이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듭니다.

[앵커]

그리고 지금 상당히 우려되는 점이 돌파감염자가 상당히 많이 늘고 있고 고령층에 집중되다 보니까 요즘에 돌파 폐렴 비율이 늘고 있다고 하는데 돌파 폐렴은 어떤 거라고 생각할 수 있는 겁니까?

[정기석]

백신을 다 맞았는데, 완료를 했는데도 폐렴이 생기는 거죠. 그런데 사실 코로나19는 폐렴이 생겨서 사망까지 이르는 그런 병입니다. 그리고 폐렴이 생기고 난 다음에 다장기부전이라든지 온 몸에 염증이 생긴다든지 그런 것이기 때문에 돌파감염이 폐렴까지 이어진다는 것은 조금 우려스럽죠. 왜냐하면 백신을 두 번 맞아도 돌파는 될 수 있습니다.

돌파감염까지는 될 수 있는데 돌파된 상태에서 폐렴까지 진행한다는 것은 그만큼 백신이 면역을 어느 정도 일으킨 상태라면 폐렴까지는 안 가야 되죠. 우리가 백신을 맞아야 되는 이유 중에 위중증으로 덜 간다, 사망에 덜 간다 이렇게 얘기를 했는데. 그런 믿음이 약간은 무너지고 있는 그런 장면을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이죠.

[앵커]

그렇다면 이게 특히 고령층에서 더 위험도가 높다, 이렇게 볼 수 있는 상황 아닙니까?

어떻게 전망할 수 있을까요?

[정기석]

지금 얼마 전에 나온 자료를 한번 보시면 이렇습니다. 20, 30, 40, 50대까지는 감염이 쭉 줄고 있어요. 그런데 60대가 감염이 올라가고 있거든요. 그 얘기는 뭔가 하면 60대 이상 사람들이 맞았던 그 시기가 상당히 지남으로 해서 그만큼 항체가가 많이 떨어지고 면역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거고요.

또다시 잘 보시면 만일 시기가 이렇게 해서 두세 달이 지나면 지금 우리가 비교적 감염이 적게 나오고 있는 20, 30, 40대도 다시 올라갈 수 있을 것이다, 돌파감염으로 인해서. 그런 생각을 할 수가 있습니다.

오늘 오전에 사망했다는 속보가 들어왔고요. 여러 가지 추가소식이 들어오는 대로 다시 한 번 전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저희가 지금 고령층 돌파 폐렴 이런 얘기를 하고 있었는데. 걱정이 되는 건 지금 겨울철로 접어들고 있지 않습니까? 이 시기에는 원래 고령층 폐렴이 또 많아지는 시기 아닙니까?

[정기석]

그렇습니다. 다행히 고령층들이 그만큼 조심을 했기 때문에 일반적인 폐렴은 좀 줄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일반적인 폐렴이 많이 준 것으로 되어 있지만 그래도 만일 폐렴이 금년에 혹시 다른 종류의 어떤 인플루엔자를 포함해서 다르게 돈다면 문제가 될 것이고요.

특히 코로나19에 의해서 폐렴이 걸리면 2차로 세균성 폐렴이 많이 들어온다는 연구들이 나와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폐렴구균에 의한 폐렴이 가장 흔하게 나오고 있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해서 필요하시면 검사도 하고 또 치료제가 있고 예방약이 있습니다.

백신이 있습니다, 거기도. 그래서 그런 백신도 안 맞으신 분들은 맞고 이렇게 하면서 이 겨울을 준비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앵커]

일부에서는 고령층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많이 맞지 않았습니까? 그런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같은 경우에 중화항체량이 화이자나 모더나보다 크게 떨어진다. 그래서 더 위험한 거다, 더 위험에 노출되기 쉽다. 이렇게 분석하는 경우도 있더라고요.

[정기석]

지금 결과를 보니까 항체가가 많이 낮게 나오는 건 사실입니다. 지금 표에도 나오듯이 얀센이 제일 낮고 그다음에 아스트라제네카 맞은 게 낮죠. 사실은 우리나라에서 60~74세까지가 촘촘하게 아스트라제네카, 아스트라제네카를 맞았습니다. 저도 저 아스트라제네카, 아스트라제네카를 맞았는데요. 이제 이렇습니다.

항체가가 낮으면 면역이 떨어질 확률은 있습니다마는 지금 보이는 263이라는 숫자가 과연 못 막을 것이냐, 병 자체를 막을 것이냐라는 것도 생각을 해야 됩니다.

저게 100이 돼야지 막을 수 있는지 1000이 돼야 막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그런 연구는 하기가 굉장히 어렵거든요.

그다음에 또 하나는 항체면역 말고도 세포면역이라고 얘기되는 임파구, T임파구라고 바이러스를 직접 잡아서 먹어버리는 그런 면역을 우리가 갖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그걸 두 번씩이나 주사를 맞았기 때문에 학습이 돼 있는 상태에서 항체는 좀 적더라도 T임파구가 가서 바이러스를 완전히 사멸시키는 그런 작용도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 부분은.

[앵커]

그래서 지금 부스터샷은 화이자로 맞고 있는 거잖아요. 화이자를 맞을 경우에 어떻습니까? 효과가 많이 올라갈 수 있는 겁니까?

[정기석]

지금 그 연구도 미국에서 한번 내놨었는데요. 어떤 종류의 백신이든 간에 섞어서 맞는 것이 항체가가 더 높더라 이렇게 결과가 나온 겁니다.

[앵커]

원래는 같은 종류 맞는 게 제일 좋다고 그랬잖아요.

[정기석]

원래는 그렇습니다. 왜냐하면 그게 가장 좋다기보다는 다른 연구는 돼 있지가 않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많이 지나가면서 각 나라마다 백신 수급 문제도 있고 해서 실험을 해 봤던 거죠. 많이 하지는 않았습니다. 그저 몇 백 명 수준으로 해 보니까 항체가만 재보니까 더 높았다는 건데 다시 말씀드리지만 항체가가 과연 어느 정도 높아야 내 몸을 지켜줄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은 없다. 그렇습니다.

[앵커]

그래서 추가접종에 대한 관심이 높은데 50세 미만 일반 성인에 대한 백신 추가접종 얘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시기를 점쳐본다면 언제쯤으로 예상해 볼 수 있을까요?

[정기석]

저는 우리나라 꼭 해야 된다고 보고요. 시기는 5개월째에 하는 것을 권고를 하고 싶습니다.

[앵커]

2차 접종 이후에 5개월.

[정기석]

그렇습니다. 5개월째. 그렇게 해도 사실은 이 겨울이 지나야 되거든요. 대개 8월, 9월, 10월까지 끝냈기 때문에 5개월이 지나면 거의 내년 봄까지 갈 수도 있어서 만일 맞기 전에 5개월 전에 4개월째만 돼도 사실은 면역이 많이 떨어집니다. 그때 혹시 또 다른 그 연령대에 많은 감염이 나타나지 않을까, 그런 우려가 되는 바입니다.

[앵커]

끝으로 간략하게요. 델타 변이, 우리가 힘겨운 싸움을 이어가고 있는데 델타 변이의 변이가 나오고 있다는 얘기가 있어서 걱정인데 이거는 크게 걱정 안 해도 되는 건가요?

[정기석]

걱정해야 됩니다. 델타가 알파, 베타, 감마, 델타 이렇게 나오면서 쭉 몇 가지가 나왔는데 지금 이상하게도 전 세계적으로 델타만 쫙 가고 있거든요. 언젠가는 새로운 변이가 나올 수 있다는 얘기가 학계에서는 상당히 신중하게 그리고 심각하게 나오고 있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비해야 되고요.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 거는 아직까지 우리나라에는 안 들어왔습니다마는 아시다시피 우리나라의 질병청에서 매일매일 검사를 하고 있으니까 문제가 되면 또 즉각 관심을 쏟으면서 계획을 따로 세울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앵커]

앞으로 또 델타 변이의 변이까지 걱정해야 되는 상당히 우려스러운 상황인데요. 지금까지 정기석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였습니다. 고맙습니다.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시각 코로나19 확진자 및 예방접종 현황을 확인하세요.

연예인 A씨와 유튜버의 싸움? 궁금하다면 [웹툰뉴스]

대한민국 24시간 뉴스채널 YTN [LIVE 보기]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