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헬멧 착용에 이용률 반 토막…'안전+편의' 묘안 없나

<앵커>

최근 전동킥보드 타는 이용객이 많이 줄었습니다. 헬멧 착용과 면허증 소지가 필수가 됐기 때문인데, 업체들은 불법 주정차된 킥보드 견인도 늘어서 부담이 더 커졌다고 호소하고 있습니다.

시민들 안전과 편의성을 함께 만족시킬 수 있는 방안은 없는 건지, 이호건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서울 광진구의 한 도로.

지하철역 입구를 가로막은 전동킥보드가 견인됩니다.

[백정기/견인업체 직원 : 하루에 (견인만) 한 스무 건, 서른 건 정도 됩니다.]

지난 7월부터 서울시는 불법주차 전동킥보드 1만 2천 대를 견인했습니다.

넉 달간 견인보관료만 7억 원이 넘습니다.

덕분에 불법 주정차 신고 건수는 절반 가까이 줄었지만, 업체 부담은 커졌습니다.

[이동근/퍼스널모빌리티 산업협의회 팀장 : 대부분 영세한 스타트업으로 시작한 기업들이기 때문에 오래 버틸 수 있는 기업들이 많지 않을 거라고 봅니다.]

이용자도 불만이 적지 않습니다.

앞서 5월부터 시행된 헬멧 의무 착용 때문입니다.

부피가 큰 헬멧을 갖고 다니라는 것 자체가 현실과 동떨어진다는 얘기가 나옵니다.

[박정우/경기 수원시 : 아무래도 헬멧을 들고 다니기 불편하니까. (킥보드) 편하긴 했는데 지금은 많이 못 쓰는 것 같아서….]

헬멧 의무화 이후 공유 킥보드 이용자는 사실상 반 토막 났습니다.

이용객 급감과 유지비 부담으로 공유 킥보드 사업에서 발을 빼는 업체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공유 킥보드' A 업체 관계자 : 일단 서울에서 3개 구에서 운영 대 수를 다른 구나 아예 다른 지방 도시로 이동 조치한….]

안전성과 편의성을 둘 다 잡을 묘안이 필요한 상황인데, 제한속도를 낮춰 규제를 풀고 공유 킥보드 대수를 제한해 과잉경쟁을 막자는 의견이 나옵니다.

[김필수/대림대 미래자동차공학부 교수 : 미래 모빌리티 사업 모델인데도 죽어가고 있다는 게 문제점입니다. 지금 최고속도 25km 미만으로 헬멧 쓰게끔 만들었는데 아예 15km 미만으로 낮춰서 헬멧을 벗게 하는 방법도 중요하고요.]

이달 말 국회와 서울시는 공유 킥보드 제도 개선 토론회를 잇달아 열어 상생안 찾기에 나섭니다.

(영상편집 : 박춘배, VJ : 김형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