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키, 신을 수 없는 메타버스 신발 판매 앞둬

정윤주 2021. 11. 3. 15: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나이키가 가상세계용 상표 등록을 신청했다.

오리건주에 본사를 둔 글로벌 회사 나이키가 브랜드의 가상 운동화와 의류를 만들고 판매하기 위해 가상세계용 상표를 등록했다.

조시 거벤 상표권 변호사는 "나이키의 상표권 출원은 가상세계에서도 각종 모조품의 만들어지지 않도록 보호하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나이키 브랜드의 가상 세계 진출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나이키

나이키가 가상세계용 상표 등록을 신청했다.

오리건주에 본사를 둔 글로벌 회사 나이키가 브랜드의 가상 운동화와 의류를 만들고 판매하기 위해 가상세계용 상표를 등록했다. 나이키가 메타버스 디지털 의류와 운동화를 팔기 위한 본격적인 준비에 나섰다는 평가다.

2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나이키가 신고한 가상세계 상표권이 '스우시(Swoosh)'와 '에어 조던(Air Jordan), '저스트 두 잇(Just do it)' 등 총 7건이라고 보도했다. WSJ은 "나이키는 곧 신을 수 없는 운동화를 판매할 수도 있다"며 "사람들은 이미 디지털 운동화, 작품 등에 수천 달러를 지불하고 있다"고 전했다.

조시 거벤 상표권 변호사는 "나이키의 상표권 출원은 가상세계에서도 각종 모조품의 만들어지지 않도록 보호하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나이키는 향후 계획에 대한 의견 요청에 즉각 응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전략에 정통한 사람들은 "메타버스는 브랜드의 우선순위 사업 가운데 하나이며 소비자들은 앞으로 몇 달 안에 더 많은 디지털 용 제품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나이키 구직 현황을 보면, 회사는 최근 신발과 다른 가상 디자인을 제작할 디자이너를 뽑기 위해 채용 공고를 냈다. 10월 23일에 게시된 취업 공고에는 "채용자는 나이키에서 디지털과 가상 혁명에 초점을 맞춘 팀인 디지털 제품 창조 팀에 속할 것"이라고 적혀 있었다.

나이키 브랜드의 가상 세계 진출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19년 5월, 조던 브랜드는 캐릭터들이 나이키 브랜드의 운동화를 신는 계약을 포트나이트와 맺었다. 이외에도 나이키는 온라인 게임 플랫폼인 로블록스와 여러 차례 협력했다.

나이키는 지난 9월 23일, 가장 최근 실적 보고서에서 전망을 부정적으로 예측했다. 회사는 베트남 공장 운송 문제 및 노동력 부족으로 생산 중단 문제가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YTN PLUS 정윤주 (younju@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시각 코로나19 확진자 및 예방접종 현황을 확인하세요.

연예인 A씨와 유튜버의 싸움? 궁금하다면 [웹툰뉴스]

깔끔하게 훑어주는 세상의 이슈 [와이퍼]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