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VIP
통합검색

"대출수요 몰릴라"…지방은행도 가계대출 조인다

머니투데이
  • 김상준 기자
  • 카카오톡 공유하기
  • 카카오톡 나에게 전송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 텔레그램
  • 문자
  • 글자크기조절
"대출수요 몰릴라"…지방은행도 가계대출 조인다 - 머니투데이
지방은행들이 속속 대출 문턱을 높인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연간 증가율 '6%룰'에서 벗어나 있지만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의 대출 중단 등 조치에 따른 연말 '풍선효과'가 우려돼서다.

19일 은행권에 따르면 DGB대구은행은 오는 25일부터 타행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대환대출(대출 갈아타기) 취급을 중단한다. 다른 은행 대출분이 대구은행으로 오는 것을 막는 조치다. 주택담보대출 모기지신용보험(MCI)·모기지신용보증(MCG) 대출도 당분간 운용하지 않는다. MCI·MCG는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함께 가입하는 보험이다. 가입하면 주택담보대출비율(LTV) 만큼 대출을 받을 수 있는데, 가입하지 못하면 소액임차보증금을 뺀 금액만 빌릴 수 있게 된다. 대출 한도가 줄어드는 셈이다. 대구은행은 모집인을 통한 대출 상품 판매도 한시적으로 멈춘다.


앞서 BNK경남은행은 지난 12일부터 일부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상품에 대한 신규 취급을 연말까지 막았다. BNK부산은행은 또 지난 6일부터 타행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대환대출을 내어주지 않는다. 대표 신용대출 상품인 '원 신용대출' 신규도 취급하지 않고 있다.

이달 들어서만 5대 지방은행(부산·경남·대구·광주·전북은행) 중 3개 은행이 대출 상품 판매를 중단한 것이다. 지방은행은 지역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 비중을 60% 이상으로 유지하고 있어 시중은행보다 넉넉한 연간 가계대출 증가율 한도를 부여받는다. 상반기 지방은행 가계대출 증가율은 경남·부산·대구은행 각각 11.8%, 9.9%, 6.6%로 시중은행보다 높았음에도 금융당국이 직접 규제를 가하지 않은 배경이다.

하지만 지난 8월부터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이 연이어 대출을 제한하면서 일부 수요가 지방은행으로 옮겨왔다. 한 지방은행의 경우 8월 대비 9월 주택담보대출이 잔액 기준으로 약 40% 증가했다. 또 다른 지방은행은 수도권 영업 지점에 대출 관련 문의가 크게 늘자 우선 수도권을 중심으로 자체적으로 대출 실행 속도를 조절하고 있다.


지방은행 전체적으로 봤을 때 풍선효과는 아직 크지 않지만, 안심할 순 없다는 것이 지방은행의 입장이다. 지방은행 관계자는 "시중은행들이 대출 제한 조치들을 대부분 확정한 지금부터 지방은행이나 제2금융권으로 대출 수요가 몰릴 수 있다"며 "아직까진 여력이 있지만 연말까지 상황을 고려하면 선제적으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수요에 가까운 전세자금대출·집단대출에 대해선 제한을 두지 않지만 시중은행과 같이 대출 요건을 강화할 방침이다. 지방은행들은 18일 은행연합회 주관 전세대출 재개 관련 은행권 비대면 회의에서 이같이 결정했다. 지방은행도 27일부터 전세대출 갱신시 대출 한도를 전셋값(임차보증금) 증액 범위 이내로 제한하고, 임대차계약서상 잔금 지급일 이전까지만 대출 신청을 할 수 있도록 한다. 1주택 보유자의 경우는 반드시 대면으로 대출을 신청해야 한다.



머니투데이 주요뉴스

美 감세안 하원 통과에 눈치 본 코스피, 2590선 약보합 마감
네이버 메인에서 머니투데이 구독 다음 언론사 홈에서 머니투데이 구독

베스트클릭

이슈패키지

오늘의 꿀팁

  • 뉴스 속 오늘
  • 더영상
  • 날씨는?
  • 헬스투데이

많이 본 뉴스

마르크 샤갈 특별전
미피의 마법우체통

포토 /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