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량규제에 은행들 '선착순 대출'…"이대로면 12월에 대출 셧다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은행권 대출한도 관리 '진땀'
국민·신한 등 5대 은행 가계대출
작년 말보다 5% 늘어 703조
연말까지 대출 여력 7.5조 불과
국민·신한 등 5대 은행 가계대출
작년 말보다 5% 늘어 703조
연말까지 대출 여력 7.5조 불과

가계대출을 억제하려는 정부의 압박이 강해지면서 총량 규제에 맞추려는 금융회사들의 대출 죄기가 전방위로 확산하고 있다. 농협은행이 신규 주택대출을 한시 중단하는 초유의 일이 발생한 데 이어 우리은행은 이달 지점당 월별 대출 한도를 최저 5억~10억원으로 제한했다. 이 은행의 한 지점 관계자는 “평상시면 하루 만에 동날 액수”라며 “한도를 추가로 배정받는다 해도 연말까지 대출 총량이 정해져 있는 만큼 여유분이 거의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ADVERTISEMENT

연말까지 대출 가뭄 더 심해질듯
이 같은 극단적인 대출 제한은 연말이 가까워질수록 심해질 전망이다. 올해를 3개월 남겨둔 상황에서 금융당국이 묶어둔 대출 총량 증가율 상한인 6%(지난해 말 대비)가 벌써 눈앞에 다가왔기 때문이다. 국내 전체 가계대출의 절반을 차지하는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은행의 9월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보다 4.9% 늘어난 702조8878억원이다.이들 은행이 연말까지 추가로 대출할 수 있는 금액은 7조5000억원(잔액 기준) 정도다. 상환되는 대출까지 고려해도 10~12월 매달 2조5000억~3조원 수준으로만 신규 대출이 가능한 셈이다. 올 들어 9월까지 월평균 대출 잔액 증가 규모가 3조6400억원이었음을 고려하면 기존보다 대출 문턱을 대폭 높여야 겨우 지킬 수 있는 목표치다.
ADVERTISEMENT
지방은행·2금융 곳곳 풍선 효과
시중은행들이 본격적으로 대출을 죄면서 지방은행과 2금융권으로 대출이 흘러드는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일부 금융사는 이미 금융당국이 제시한 총량 증가율 목표치를 넘어섰다. 경남·부산은행은 올 6월 말 기준으로 가계대출 증가율이 각각 11.8%, 9.9%에 달했고 현대카드(14%)와 롯데카드(12%)도 카드론이 급증하면서 금융당국의 주의를 받았다. 금융당국은 산림조합중앙회에도 총량 관리를 재차 당부했다. 지역 단위 농·축협은 8월 말부터 비·준조합원의 신규 대출을 중단했는데, 산립조합 역시 비슷한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전국 130개 산림조합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현재 5%대로 총량 규제 목표치인 4%대를 넘었다.풍선 효과가 속출하면서 연말까지 남은 2금융권 대출 한도 역시 1조6000억원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보험사·카드사 등도 연말까지 추가적인 대출 축소에 나설 전망이다.
빈난새/박진우 기자 binthere@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