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안지훈 교수팀, 꽃의 개화조절 기작을 세계 최초로 규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려대학교는 꽃의 개화조절 기작을 세계 최초로 규명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고 28일 밝혔다.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안지훈 교수팀은 개화유도 호르몬 '플로리겐'이 온도 변화에 따라 세포 내에서 어떻게 행동하고 이동하는지 규명하여 대기 온도 반응성 개화 조절 기작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으며,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 권위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게재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려대학교는 꽃의 개화조절 기작을 세계 최초로 규명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고 28일 밝혔다.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안지훈 교수팀은 개화유도 호르몬 '플로리겐'이 온도 변화에 따라 세포 내에서 어떻게 행동하고 이동하는지 규명하여 대기 온도 반응성 개화 조절 기작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으며,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 권위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게재됐다.
안지훈 교수팀은 플로리겐인 FT 단백질이 저온상태에서는 인지질 중 하나인 포스파티 딜글리세롤(PG)과 결합하여 세포막에 붙들려있지만,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이 붙들림에서 풀려나서 자유로운 상태로 존재하게 되어 이동이 자유롭게 되고 동반세포에서 체요소로 이동하여 개화를 유도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두번째로 안지훈 교수팀은 FT 단백질은 여러 인지질 가운데 음성 전하를 갖는 PG와 잘 결합하는 특성을 갖고 있음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으며, 세포 내에서 PG 함량이 높은 세포내소기관의 지질 이중막에 FT 단백질이 결합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마지막으로 연구팀은 PG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들의 기능을 억제했을 때 식물체는 온도 변화에 상관없이 꽃 피는 시기가 앞당겨지는 것을 발견했으며, FT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세포인 동반세포(companion cell)에 존재하는 세포내소기관 중 PG 함량이 높은 엽록체를 인위적으로 없앴을 때에도 온도 변화에 상관없이 꽃 피는 시기가 앞당겨짐을 발견했다.
연구를 주도한 안지훈 고려대 교수는 "개화유도 호르몬 분자가 온도 변화에 따라 세포 내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 밝혀냈다."라며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기후변화가 작물 생산성과 지구 생태계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모더나 백신 맞고 열흘 뒤…모친산소 벌초하던 20대 숨져 - 머니투데이
- '150억 공방' 영탁, 예천양조 겨냥 글 돌연 삭제…무슨 일? - 머니투데이
- 日 만화가 "오징어게임, 일본 콘텐츠서 영감 받았겠지만…" - 머니투데이
- 클럽 죽순이 2명, 부잣집 형제와 나란히 결혼…빌딩 꿰찬 사연 - 머니투데이
- "선생님 XX 넣어도 돼요?"…초6 남학생이 성희롱 메시지 - 머니투데이
- 용준형과 결혼 후 첫 앨범, 무대 앞두고…현아 안타까운 소식 - 머니투데이
- "국자" "접시" 아내·자녀 부려먹는 아빠…오은영도 '정색' - 머니투데이
- 10명 중 6명, 샤워 중 소변 본다는데…"이 병 걸린다" 전문가 경고 - 머니투데이
- 전임 교황이 피했던 붉은 제의…레오 14세 행보의 세 가지 시그널 - 머니투데이
- "여성편력에 마약 한 쓰레기" 라더니…또 사고 친 남태현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