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도 미달 사태 예상..지역대학 신입생 유치 '사활'
[KBS 창원] [앵커]
대입 수시모집 원서접수가 다음 달 시작되는 가운데, 경남지역 대학들이 내년에도 올해처럼 정원 미달 사태가 예상되면서 신입생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대학의 연구기능 강화에다 졸업생의 취업률을 높이고 특성화 학과로 변신을 시도하는 등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천현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경남과기대와 통합으로 신입생 정원 1,200명 늘어 내년 4,500명을 뽑는 경상국립대.
입학 정원이 많은 데다 유사 중복학과도 16개나 돼 신입생 충원에 비상입니다.
대학 본연의 연구 실적에 경남혁신도시, 항공 분야 등 좋은 일자리가 신입생 유치 전략입니다.
[이광호/경상국립대 입학처장 : "학문적인 능력뿐만 아니라 사회에 진출해 바로 일을 잘 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는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모집 정원 2천 명 대인 종합대학들은 수시 모집을 더 늘려 신입생을 선점하려는 전략입니다.
창원대는 내년 72%, 2024학년도에는 80% 이상으로 수시모집 비중을 올리고, 경남대는 내년 92%까지 높입니다.
가야대와 창신대 등 입학 정원 500명 안팎인 4년제 대학들은 졸업생 취업률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취업률이 높은 일부 학과는 여전히 수험생들의 관심이어서, 취업률 유지에 역량을 집중합니다.
경남의 10개 전문대학 역시 뷰티와 미용, 군사, 특수 분야 정비 등 특성화 학과로 변신을 시도해 고교 졸업생의 선택을 기다립니다.
[김종승/경상남도교육청 대입정보센터 : "학생 입장에서 보면 미래를 보고 자기가 '적성에 맞고 흥미가 있는 과를 선택한다면 오히려 미래가 더 밝다.' 그렇게 생각합니다."]
지난해 경남 20개 대학 신입생 충원율은 평균 85%.
올해 수능 응시생은 사상 첫 40만 명 대로 떨어졌고 10년 전과 비교하면 31%가 줄었습니다.
이 때문에 지방에서 열리는 대학 진학 박람회에 수도권 대학들까지 찾아다니며 신입생 유치에 공들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천현수입니다.
촬영기자:조현석/영상편집:안진영
천현수 기자 (skypro@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단독] ‘여군 부하 술자리 강요’ 의혹 대령, 가혹행위·무단이탈도 무혐의
- 잇단 가맹계약 해지에 점주들 ‘막막’…맘스터치에 무슨 일이?
- [단독] “구청장이 직원 격려금·후원금 빼돌려 유용”…“경조사비로 썼다” 해명
- “산소만이라도…” 의료붕괴 현실화 日 ‘고육지책’
- 1천조 원 규모 아프간 광물, 탈레반에 넘어가…개발 적극 나설까?
- ‘사퇴는 없다’던 황교익 씨는 왜 마음을 바꿨을까?
- 주말부터 ‘2차 장마’…다음주까지 폭우 ‘비상’
- ‘피해액 100억 추정’ 천안 지하주차장 화재…보상 어떻게?
- 정차중 전동차에서 의문의 폭발음…승객 ‘혼비백산’ 긴급 대피
- ‘타짜’ 사기 도박 일당 경찰은 놓쳤는데…검찰 재수사로 검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