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2분기 ‘밥상물가’ 상승률, OECD 38개국 중 세 번째로 높아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2분기 ‘밥상물가’ 상승률, OECD 38개국 중 세 번째로 높아

전년 대비 7.3% 상승…농축수산물 오름폭은 30년 만에 최대치

지난 2분기 고기·계란 등 국내 ‘밥상물가’ 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세 번째로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저물가에 따른 기저효과가 있었고 조류인플루엔자(AI)와 작황 부진 등이 발생하면서 농축수산물 물가 오름폭도 30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8일 OECD와 통계청의 2분기 한국의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식품) 물가를 보면, 식품물가는 1년 전보다 7.3% 상승했다. OECD 전체 평균(1.6%)의 4.5배였다. 38개 OECD 회원국 가운데 터키(18.0%)와 호주(10.6%)에 이어 세 번째로 높다. 2분기 상승률로만 보면 2011년 7.8% 이후 최대다.

지난해 저물가에 따른 기저효과와 함께 AI 발생 여파, 작황 부진,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밥상물가를 끌어올렸다. 2분기 들어 농축수산물 물가는 11.9% 상승해 1991년(12.5%) 이후 30년 만에 최대폭을 기록했다.

밥상물가는 하반기에도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7월 들어 폭염과 AI 여파 등으로 농축수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9.6% 올랐다. 계란은 1년 전보다 가격이 57.0% 상승하는 등 오름세가 지속됐다.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2.6% 오르는 등 넉 달 연속 2%대 상승률을 보였다.

빵이나 식용유 등 가공식품 가격에 영향을 주는 국제곡물 가격이 오르는 것도 밥상물가에 영향을 주고 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곡물·유지류·육류 등 주요 식량 품목의 국제가격을 지수화한 ‘세계식량가격지수’를 보면, 지난달 123.0을 기록해 2014~2016년 평균(100)을 넘어섰다. 정부는 그러나 하반기에는 물가가 2분기보다는 덜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