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SHOT-TRIATHLON-OLY-2020 2021-TOKYO
결승선을 통과한 트라이애슬론 선수들이 바닥에 쓰러져 있다. 도쿄 | AFP연합뉴스

OLYMPICS-2020-TRI/M-OLYMPIC-FNL-000100
트라이애슬론 개인전 우승자 크리스티안 블룸멘펠트(가운데)가 결승선을 통과한 뒤 관계자의 부축을 받고 있다. 도쿄 | 로이터연합뉴스

[스포츠서울 | 이용수기자] 2020 도쿄올림픽 유치하려던 일본의 욕심은 고스란히 선수들에게 피해가 전가되고 있다.

지난 26일 오전 6시30분 일본 도쿄 오다이바 해상공원에서 열린 철인3종경기(트라이애슬론)에서 결승선을 통과한 선수들이 몸을 가누지 못하고 바닥에 쓰러졌다. 급기야 일부는 구토까지 했다. 수영 1.5㎞, 사이클 40㎞, 달리기 10㎞를 연이어 소화하는 만큼 강철 체력을 지닌 선수들을 일명 ‘철인’으로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철인에게도 도쿄의 날씨는 버거웠다.

일각에서는 도쿄의 날씨가 애초 대회를 치르기에 적합하지 않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미국 야후스포츠의 칼럼니스트 댄 웨트젤은 “더위를 피하고자 경기 시작 시간을 당겼지만, 경기에서 증명됐듯이 열을 이길 수 없었다”라며 “시작 당시 기온은 이미 섭씨 29.4도였고, 상대 습도는 67.1%였다”라며 “일본은 도쿄날시에 대해 거짓말을 했다”라고 지적했다.

특히 일본이 이번 대회를 유치하기 위해 내세운 공식 제안서 문구를 꼬집었다. 공식 제안서에는 ‘기후가 온화하고 화창하며, 선수들이 최고의 기량을 펼치기에 이상적인 날씨’라고 적었다. 웨트젤은 “온화하다? 이상적이다? 도쿄가, 7월에?”라며 의문을 제기하며 도쿄의 공식 제안서를 비꼬았다. 그러면서 “일본은 날씨에 대해 사과할 필요는 없다. 내리쬐는 태양이나 높은 기온, 습도가 그들의 잘못은 아니다. 하지만 선수들은 이 같은 환경에 지쳐가고 있다”며 “일본은 날씨에 대해 엄청난 거짓말을 했고, 이 점에 대해서는 사과를 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OLYMPICS-2020-TRI/M-OLYMPIC-FNL-000100
트라이애슬론 남자 개인전 결승선을 제일 먼저 통과한 크리스티안 블룸멘펠트(왼쪽 첫 번째)가 바닥에 쓰러져 있다. 도쿄 | 로이터연합뉴스

이날 경기는 노르웨이의 크리스티안 블룸멘펠트가 1시간 45분 04초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그러나 우승한 그도 결승선을 통과하면서 테이프를 붙잡고 주저앉아 구토했다. 이 외에도 야외에서 경기를 치르는 선수들이 무더위에 무릎 꿇기는 마찬가지였다. 지난 23일 뙤약볕에서 경기를 치른 러시아 양궁 선수 스베틀라나 곰보에바는 점수를 확인하다 의식을 잃었다. 러시아 테니스 선수 아나스타시야 파블류첸코바 또한 24일 경기를 치른 뒤 “전혀 즐기지 못했다”며 무더위에 혀를 내둘렀다.

purin@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