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서울의 주요 10개 대학 신입생 중 일반고 출신 비율이 줄었습니다.
대학알리미의 2021학년도 대학 신입생 출신고교 등에 따르면 올해 4년제 일반대학과 교육대학 신입생 중 일반고 출신 비율은 74.8%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지난해보다 1.4%포인트 감소한 수치입니다.
외고나 국제고, 과학고 등 특목고 출신은 4.5%로 전년보다 0.3%포인트 증가했습니다.
검정고시 출신 비율은 같은 기간 1.7%에서 2.1%로 0.4%포인트 늘어났습니다.
교육계에서는 정시확대 기조의 영향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자녀의 학생부종합전형 공정성 논란이 불거지자 교육부는 2019년 11월 서울지역 16개 대학의 정시 비중을 40%까지 확대한다는 내용의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방안'을 내놓은 바 있습니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정시확대 이후 특목고나 영재학교가 수능준비에 유리하다는 점이 명확하게 확인됐다"고 분석했습니다.
특목고나 영재학교 출신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한국과학기술원, KAIST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AIST 신입생 713명 중 특목고·영재학교 출신은 535명으로 전체의 75%에 달했습니다.
서울대에 입학한 특목고·영재학교 출신 신입생은 932명으로 전체의 27.4%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이화여대 20.3%, 연세대 16.5%, 숙명여대 15.8%, 고려대 15.0%, 성균관대 14.7% 순으로 특목고나 영재학교 출신 신입생 비중이 높았습니다.
YTN 김종균 (chong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학알리미의 2021학년도 대학 신입생 출신고교 등에 따르면 올해 4년제 일반대학과 교육대학 신입생 중 일반고 출신 비율은 74.8%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지난해보다 1.4%포인트 감소한 수치입니다.
외고나 국제고, 과학고 등 특목고 출신은 4.5%로 전년보다 0.3%포인트 증가했습니다.
검정고시 출신 비율은 같은 기간 1.7%에서 2.1%로 0.4%포인트 늘어났습니다.
교육계에서는 정시확대 기조의 영향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자녀의 학생부종합전형 공정성 논란이 불거지자 교육부는 2019년 11월 서울지역 16개 대학의 정시 비중을 40%까지 확대한다는 내용의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방안'을 내놓은 바 있습니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정시확대 이후 특목고나 영재학교가 수능준비에 유리하다는 점이 명확하게 확인됐다"고 분석했습니다.
특목고나 영재학교 출신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한국과학기술원, KAIST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AIST 신입생 713명 중 특목고·영재학교 출신은 535명으로 전체의 75%에 달했습니다.
서울대에 입학한 특목고·영재학교 출신 신입생은 932명으로 전체의 27.4%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이화여대 20.3%, 연세대 16.5%, 숙명여대 15.8%, 고려대 15.0%, 성균관대 14.7% 순으로 특목고나 영재학교 출신 신입생 비중이 높았습니다.
YTN 김종균 (chong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