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고 전시회 초대권 받자!

피로 물드는 콜롬비아 ‘저항의 도시’…군 유혈 진압으로 시위대 사망 속출

이윤정 기자

반정부 시위 중심 칼리시

28일 이후 13명 이상 숨져

빈곤·불평등 항의 청년들

“요구 반영 때까지 안 물러서”

반정부 시위대 무덤 한 콜롬비아 시민이 29일(현지시간) 바예델카우카주 칼리의 반정부 시위대 무덤 앞에서 머리를 감싸쥐며 슬퍼하고 있다.  칼리 | AFP연합뉴스

반정부 시위대 무덤 한 콜롬비아 시민이 29일(현지시간) 바예델카우카주 칼리의 반정부 시위대 무덤 앞에서 머리를 감싸쥐며 슬퍼하고 있다. 칼리 | AFP연합뉴스

콜롬비아 반정부 시위가 한 달 넘게 이어지는 가운데 시위의 중심지인 ‘저항의 도시’ 칼리에서 사망자가 속출하고 있다. 정부가 군 병력을 대거 배치해 시위를 강경진압하면서다. 유엔 인권최고대표는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라며 유엔의 조사 착수를 촉구했다.

AFP통신 등은 30일(현지시간) 콜롬비아 정부가 전날 칼리가 있는 바예델카우카주에 7000명의 군인을 추가 배치했다고 전했다. 지난 28일 시위 한 달을 기념하는 시위대를 경찰이 강경진압하면서 유혈 사태가 벌어지자 정부가 군 병력을 추가로 지원한 것이다. 칼리 당국은 “13명 이상이 숨졌다”고 밝혔지만 현지 피해 상황은 더 심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첼 바첼레트 유엔 인권최고대표는 이날 성명을 통해 “지난 28일 이후 지금까지 칼리에서 14명이 사망하고 98명이 총상 등으로 부상을 입었다”면서 “즉각 이 지역에 대한 독립적이고, 공정하고, 투명한 조사에 착수해야 한다”고 밝혔다. 바첼레트 인권최고대표는 현지 보고를 통해 사복을 입고 민간인 사이에 숨어든 경찰들이 평화시위를 벌이는 시민을 향해 총격을 가했다고 전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시민(22)은 AFP에 “사람들이 반정부 시위 한 달을 맞은 것을 기념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총성이 울리면서 학살이 시작됐다”고 했다. 시위와 혼란을 틈탄 약탈과 방화 과정에서 숨진 이들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칼리에는 야간통행금지령이 내려졌다.

이반 두케 정부의 세제 개편안을 비판하는 반정부 시위는 지난 4월28일 콜롬비아 전역에서 시작됐다. 코로나19로 살림이 더욱 어려워진 상황에서 서민층과 중산층의 소득세와 부가가치세 부담을 늘리는 개편안에 시민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두케 정부는 결국 세제 개편 계획을 철회했지만 시민들은 빈곤과 불평등에 항의하며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정부와 시위대 대표들이 2주 넘게 벌이고 있는 협상은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인구 220만명으로 콜롬비아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인 칼리에서 가장 격렬한 시위가 벌어지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시위 도중 사망한 60여명 중 38명이 칼리 시민이라고 보도했다.

다른 도시보다 범죄조직이 활개를 치는 칼리의 살인율은 10만명당 48명으로 수도 보고타(13명)나 메델린(14명)보다 훨씬 높다. 코로나19 유행 동안 빈곤층은 다른 도시보다 3배 이상 증가했고, 청년들의 일자리도 급감했다. 주로 25세 이하 청년들이 칼리 시위를 이끌고 있는데 이들은 만연한 불평등 구조를 바꾸기 위해 목소리를 계속 낼 것이라고 FT에 말했다. 시위 지도부 마르 산체스는 “시위대 요구가 2022년 선거에 반영될 때까지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Today`s HOT
중국-아랍국가 협력포럼 개최 셰인바움 후보 유세장에 모인 인파 주식인 양파 선별하는 인도 농부들 치솟는 아이슬란드 용암 분수
영~차! 울색 레이스 이스라엘 규탄하는 멕시코 시위대
라파 떠나는 팔레스타인 주민들 살인적 더위의 인도
미국 농장에 설치된 태양전지판 abcd, 스펠링 비 대회 의회개혁법 통과 항의하는 대만 여당 지지자들 남아공 총선 시작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