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유엔은 현지시간 23일 북한에서 벌어지는 인권 침해와 반인권 범죄를 규탄하고 책임 규명을 촉구하는 북한 인권결의안을 채택했습니다.
47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유엔 인권이사회는 이날 유엔 제네바 사무소에서 열린 제46차 회의에서 북한 인권결의안을 표결 없이 합의로 결의했습니다.
북한 인권결의안은 2003년 유엔 인권이사회의 전신인 인권위원회에서 처음 채택된 뒤 올해까지 19년 연속 채택됐습니다.
한국은 유럽연합이 제출한 이번 결의안의 공동제안국 명단에서 빠졌습니다.
한국이 공동제안국에서 빠진 것은 2019년과 2020년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입니다.
앞서 외교부 당국자는 "정부 입장은 기존과 변함이 없을 것"이라며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자세한 설명 없이 "여러 가지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그렇게 입장을 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미국은 3년 만에 다시 공동제안국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번 인권결의안에는 국군 포로와 그 후손들의 인권 침해에 대한 우려도 처음으로 담겼습니다.
인권결의안 채택에 대해 주제네바 북한 대표부의 한대성 대사는 "북한은 결의안을 거부한다"고 반발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47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유엔 인권이사회는 이날 유엔 제네바 사무소에서 열린 제46차 회의에서 북한 인권결의안을 표결 없이 합의로 결의했습니다.
북한 인권결의안은 2003년 유엔 인권이사회의 전신인 인권위원회에서 처음 채택된 뒤 올해까지 19년 연속 채택됐습니다.
한국은 유럽연합이 제출한 이번 결의안의 공동제안국 명단에서 빠졌습니다.
한국이 공동제안국에서 빠진 것은 2019년과 2020년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입니다.
앞서 외교부 당국자는 "정부 입장은 기존과 변함이 없을 것"이라며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자세한 설명 없이 "여러 가지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그렇게 입장을 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미국은 3년 만에 다시 공동제안국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번 인권결의안에는 국군 포로와 그 후손들의 인권 침해에 대한 우려도 처음으로 담겼습니다.
인권결의안 채택에 대해 주제네바 북한 대표부의 한대성 대사는 "북한은 결의안을 거부한다"고 반발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