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암흑가의 통뼈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암흑가의 통뼈

입력 2020.09.24 03:00

[임의진의 시골편지] 암흑가의 통뼈

여기 동네에선 뼈를 가리켜 ‘빼’라고 한다. 족발도 아니고 닭발도 아닌데 뼈를 빼라 부른다. 빼서 버리면 안 되는 것인데, 암튼 빼~. 여느 노동자들이 다 그렇겠지만 특히 농부들은 뼈가 굵어야 한다. 첫째, 삽질을 잘해야 다른 일도 잘한다. 제아무리 과학 영농의 시대라고 하나 삽자루를 거머쥐고 농로를 설쳐주면서 물꼬를 봐주어야 제대로 농부 축에 낀다. 둘째, 기초 체력이 받쳐줘야 한다. 선선한 시간에 보통 일을 시작하는데 비실배실 저질 체력으로는 새벽기상부터 어렵다. 통뼈들은 건강 상태가 남다르다. 셋째, 굴렀을 때 안 다치고 뼈가 멀쩡해야 한다. 뼈라도 금이 가면 한 해 농사 도로아미타불. 시골살이는 텀블링 데굴데굴 구를 일이 유독 많다. 논두렁 밭두렁 산길은 잘 닦인 도회지 산책로가 아니다. 땅벌과 독사가 나타나면 굴러서 도망도 쳐야 한다. 통뼈여야 굴렀을 때 덜 다친다. 경운기를 끌어안고 구르는 일도 생기는데, 통뼈들은 헤헤 털고 일어난다.

얼굴에 부기가 가득해도 채소밭에 계신 분들 보면 모두 통뼈들이다. 손목이 전봇대만큼 굵고 종아리 알은 공룡 알만 해. 입까지 험한 통뼈들 속에서 살아남기란 고되고 빡센 운명. 조금만 언성이 올라가면 주먹자랑, 뼈자랑. 요새는 치고받고 쌈박질이 덜하지만 과거엔 암흑가 누아르를 연속극으로 찍었다.

일반인은 제정신으로 살기조차 힘들고, 번창할 일 거의 없는 기가 쎈 터. 승려들이나 살 수 있다는 풍수에서 간신히 살고지고. 나도 나름 양중(서양 중)이라서 이만큼은 목숨 부지하는갑다. ‘쎈 터’ 센터에 사는 몸. 통뼈는 못 되고 중간 뼈는 그래도 돼서 다행이다. 청년 학생들의 힘은 부모의 직업군에서 나오는 세상이란다. 국민의 힘은 태극기에서 나오는 듯싶고, 농민의 힘은 통뼈에서 울끈불끈. 뼈자랑을 했다간 뼈도 못 추릴 여기는 암흑가. 추분이 지나니 해가 재빠르게 저문다.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