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 비만, 전립선암 위험↑"

한성간 2020. 9. 3. 09:2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복부 비만이 전립선암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옥스퍼드대학 암 역학 연구실의 아우로나 페레스-코르나고 영양 역학 교수 연구팀이 남성 21만8천225명(40~69세)을 대상으로 평균 10.8년 동안 진행한 추적 조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2일 보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복부비만 [게티이미지뱅크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 복부 비만이 전립선암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옥스퍼드대학 암 역학 연구실의 아우로나 페레스-코르나고 영양 역학 교수 연구팀이 남성 21만8천225명(40~69세)을 대상으로 평균 10.8년 동안 진행한 추적 조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2일 보도했다.

조사 기간에 이 중 571명이 전립선암으로 사망했다.

허리둘레 상위 25%(103cm 이상) 그룹은 하위 25%(90cm 이하) 그룹에 비해 전립선암 사망 위험이 3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또 허리-엉덩이둘레 비율(WHR: waist-to-hip ratio) 상위 25% 그룹은 하위 25% 그룹보다 전립선암 사망 위험이 34% 높았다.

WHR은 허리둘레를 엉덩이둘레로 나눈 수치로 여성은 0.85, 남성은 0.9 이상이면 복부비만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체질량 지수(BMI: body-mass index)와 체지방률(body fat percentage)은 전립선암 사망 위험과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체중이 비교적 무겁고 살이 좀 쪘더라도 지방이 팔, 다리 같은 복부 이외의 부위에 분산돼 있으면 전립선암 사망 위험과는 무관하다는 의미로 보인다.

BMI는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로 서방에서는 25~29면 과체중, 30 이상이면 비만으로 간주된다.

체지방률은 체중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로 적정 비율은 연령에 따라 남성이 10~20%, 여성이 18~28%이다.

이 연구 결과는 유럽 비만 연구협회(EASO: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n Obesity)와 세계 비만 연맹(WOF: World Obesity Federation)이 공동 개최한 '유럽-국제 비만 화상 학술회의'(virtual European a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Obesity)에서 발표됐다.

skhan@yna.co.kr

☞ '덜덜 떨리는 창문 테이프 붙이려다' 유리 깨지며 그만…
☞ '뉴욕 vs 시카고, 총격 많이 날 곳 찾기' 내기 걸게 한 술집
☞ 김민희가 받은 '베를린영화제 여우주연상'이 사라진다?
☞ "김정은, 북미정상회담 중 백악관 여성대변인에 '윙크'"
☞ 분수대에서 죽은지 181년 된 사람 심장 발견
☞ 코로나 대리투표 불허에 젖먹이 안고 등원한 엄마 의원
☞ 봉지라면이 컵라면 이겼다…코로나가 바꾼 시장판도
☞ '코로나19 확진' 한화 선수들 원룸서 고기 파티…반주도 곁들여
☞ 회사원들 대낮 '알몸 질주'…실적 부진 때문이라고?
☞ "집회·입원 제때 알렸더라면" 요양보호사 거짓말 일파만파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