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29곳…그린피 싸지만 민간인 부킹 '바늘구멍'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궁금한 골프 Why?
태릉CC 택지활용 논란으로 관심 커진 軍 골프장은 어떤 곳
공군 13곳·육군 7곳·해군 5곳
평일 20%선 민간인 부킹 가능
태릉CC 택지활용 논란으로 관심 커진 軍 골프장은 어떤 곳
공군 13곳·육군 7곳·해군 5곳
평일 20%선 민간인 부킹 가능

일반 골프장 절반 수준인 그린피

ADVERTISEMENT
일반 골퍼도 인터넷 예약을 통해 골프장을 쓸 수 있다. 평일 예약팀 수의 20%가 민간인에게 배정되는 덕분이다. 그린피는 주말에 9홀을 두 바퀴 도는 기준으로 평균 7만원대다. 일반 퍼블릭 골프장이 15만원 안팎인 점에 비하면 절반 수준이다. 골프장 인근 주민들에게는 10% 정도의 ‘지역주민 할인제도’도 있다. 군 관계자는 “주민센터에서 병역이행증을 출력해 오면 10% 그린피를 깎아준다”고 말했다. 또 “4인 모두 현역만 입장하는 ‘현역의 날’만 피한다면 정회원이나 준회원 또는 원로(정·준회원 가운데 만 70세 이상)와 동반하면 주말에도 이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남수원은 주니어 아카데미 운영
태릉, 동여주, 처인, 남수원은 군 골프장의 ‘빅4’로 불린다. 서울 근교에 있는 데다 정규 18홀 규격을 갖췄기 때문이다. 태릉은 19만1000원이라는 군 골프장 중 가장 비싼 그린피를 받는다. 동여주는 잭 니클라우스가 코스 설계를 했다. 남수원에는 군 골프장 유일의 주니어 아카데미가 있다. 지난해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투어 루키 돌풍의 주역이었던 이승연(22)이 이곳 출신이다.ADVERTISEMENT
군 골프장은 퇴직 장성들의 놀이터라는 비판을 꾸준히 받아왔다. 실제로 빅4 골프장은 준장으로 전역한 예비역이, 다른 체력단련장은 영관급 퇴역 장교들이 사장을 하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병사나 부사관 장교 모두 인터넷 예약을 통해 공평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평일에는 근무 때문에 못 쓰는 상황”이라며 “평일에 골프를 칠 수 있는 원로와 민간인들이 체력단련장을 많이 사용하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라고 말했다.
김순신/임락근 기자 soonsin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