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北의 연락사무소 '폭파' 직후 개성공단 내 전기 공급 차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16일 북한이 개성공단 내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직후 개성공단으로 들어가던 우리 측 전기 공급을 차단한 것으로 확인했다.
통일부는 이날 "오후 3시 40분쯤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 대한 전기공급을 중단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2016년 개성공단의 폐쇄 조치 이후 전기를 차단했다가 남북관계 전환에 따라 연락사무소 설치가 확정되며 2018년 8월 시범 가동을 통해 다시 전기 공급을 재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16일 북한이 개성공단 내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직후 개성공단으로 들어가던 우리 측 전기 공급을 차단한 것으로 확인했다.
통일부는 이날 "오후 3시 40분쯤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 대한 전기공급을 중단했다"고 밝혔다. 이는 북한이 연락사무소를 폭파한 지 40여분 뒤다.
개성공단은 2007년 한국전력이 건설한 송·변전 설비를 통해서 남측에서 공급된 전기를 사용해 가동해왔다. 우리 측에서 보낸 전기는 개성공단의 옥외변전소인 평화변전소를 통해 공단으로 들어갔다. 평화변전소는 10만㎾급으로, 한전은 개성공단 가동 당시 3만∼4만㎾ 정도의 전력을 보냈다.
정부는 2016년 개성공단의 폐쇄 조치 이후 전기를 차단했다가 남북관계 전환에 따라 연락사무소 설치가 확정되며 2018년 8월 시범 가동을 통해 다시 전기 공급을 재개했다.
이후 연락사무소 운영을 위해 사용되는 모든 전기가 우리 측에서 제공됐다.
앞서 북한은 이날 오후 2시 50분쯤 연락사무소를 폭파 형식으로 파괴하는 조치를 단행했다. 북한은 폭파 사실을 관영 매체를 통해 신속하게 대내외에 공표했다. 우리 정부도 이를 인지하고 북한이 이날 오후 2시 49분에 연락사무소를 폭파하는 조처를 했다고 발표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럼프發 반도체 관세 득실 따져보니… 삼성전자·SK하이닉스는 ‘불리’, 美 마이크론은 ‘비교
- “한 입 먹고 끝”… ‘9900원’ 뚜레쥬르 뷔페, 버려진 빵 ‘산더미’
- 아내 명의로 족발집 운영한 공무원… “겸직 징계 억울” 소송 패소
- [100세 과학] 3대 노인성 뇌질환 파킨슨병…치료 열쇠 찾는 R&D 활발
- 주한미해군사령관, HJ중공업 방문해 MRO 역량 평가
- 정세 불안해도 韓 방산은 1분기 ‘실적 잔치’ 기대감
- 자신감 붙은 美 마이크론, HBM 장비 대거 반입… “물량 경쟁 신호탄”
- [中企 오너 2.0] “가업 승계, 고민 끝에 답 찾았다”…영창실리콘 2세 박은홍 대표
- 진열된 빵에 혀를… 서울 유명 빵집 위생 논란
-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시장 뛰어든 한화 3남 김동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