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W바이오사이언스 진단키트, 중증패혈증 조기 예측

입력 2020.06.15 14:35

WRS, 사이토카인 폭풍 진단 가능성도

새로운 패혈증 진단마커 ‘트립토판-tRNA 합성효소(이하 WRS)’의 유효성을 확인한 임상결과가 최초로 공개됐다.

JW바이오사이언스가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있는 ‘WRS 진단키트’ 임상시험에서 패혈증과 중증환자를 조기에 예측한다는 결과가 국제감염질환저널 최신호에 등재됐다.

신촌세브란스병원 호흡기내과 정경수 교수 주도로 수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중증 패혈증 환자에서 트립토판-tRNA 합성효소의 진단적 성능 및 예후예측 성능 분석’ 제목으로 발표됐다.

2015년부터 3년간 신촌세브란스병원의 중환자실(ICU)에 입실한 환자 241명 중 패혈증 진단을 받은 19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는 WRS와 기존 패혈증 및 염증 진단 바이오마커인 프로칼시토닌(PCT), C-반응성 단백(CRP), 인터루킨-6(IL-6)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연구결과, WRS가 PCT, CRP, IL-6와 비교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진단 정확도를 보였다. 또 중환자실(ICU) 입원 후 28일 이내에 사망한 환자 입실 1일차의 값을 각각 측정한 결과, 기존 진단 마커와 달리 WRS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했다. 이를 통해 패혈증의 조기 발견뿐만 아니라 사망률 예측에도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WRS가 사이토카인 폭풍을 사전에 진단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시하고 있다.

WRS는 2016년 국제학술지 ‘네이처 미생물학’에 발표된 논문에서 사이토카인 폭풍을 일으키는 주요 염증물질인 TNF-alpha, IL-6 보다 가장 먼저 혈류로 분비된다는 사실이 확인된 바이오마커다.

정경수 교수는 “포괄적인 패혈증 진단 및 예후예측에 대한 WRS의 성능을 검증한 연구”라며 “이론적으로 WRS는 박테리아뿐 아니라 바이러스에 의해서도 활성화되기 때문에 세균성 패혈증과 함께 코로나 1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증에도 가치가 높을 거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JW바이오사이언스는 현재 WRS 진단키트 개발을 위해 세브란스병원, 가천대길병원, 서울성모병원 등에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하반기 품목허가를 신청할 계획이다.

JW바이오사이언스 관계자는 “팬데믹의 주요 원인인 병원균과 RNA 바이러스들은 유전적 변이가 빨라서 현재의 진단과 치료법으로는 변형의 속도를 따라잡는 데 한계가 있다”며 “WRS 진단키트를 성공적으로 상용화해 예측과 예방의학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