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연구원, "고령친화도시로 초고령 사회 대비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초고령사회 진입한 전북이 고령친화도시를 조성해야 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북연구원은 21일 내놓은 이슈브리핑 '고령친화도시 조성 필요성과 과제'를 통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전북에 고령친화도시 조성 필요성과 과제를 제안했다.
연구책임을 맡은 이동기 박사는 "고령친화도시 조성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정책과제로 등장하고 있어, 고령자들이 전북에서 활기차고, 편안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전북 특성에 맞는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호남취재본부 고민형 기자] 초고령사회 진입한 전북이 고령친화도시를 조성해야 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북연구원은 21일 내놓은 이슈브리핑 ‘고령친화도시 조성 필요성과 과제’를 통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전북에 고령친화도시 조성 필요성과 과제를 제안했다.
전북 고령인구비율은 2019년 20.40%로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이미 전북은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것이다.
전북연구원은 오는 2040년 전북 고령인구가 70만6000여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고령인구 증가와 맞물려 노년부양비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2019년 55.3%에서 2035년에는 101.1%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전북은 든든한 노후와 활기차고 편안한 노후를 위해 고령친화도시 조성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고령친화도시는 고령화를 도시환경 구조와 공동체 생활 속에서 포괄적으로 접근하게 함으로써 활동적인 노화를 촉진하는 정책도구로서 평가를 받고 있다.
이미 국내의 경우 WHO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에 서울시, 부산 등 20개 도시가 가입해 활발하게 고령친화도시를 정책 및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연구원은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통해 국제협력 관계를 위해 WHO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 가입을 추진하고, 은퇴자 대상 노후설계, 재취창업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국민연금관리공단과 순창장수연구소와 연계한 은퇴자 교육연수원 건립도 필요하다고 봤다.
연구책임을 맡은 이동기 박사는 “고령친화도시 조성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정책과제로 등장하고 있어, 고령자들이 전북에서 활기차고, 편안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전북 특성에 맞는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호남취재본부 고민형 기자 gom21004@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은 끝났다…아마 돌이킬 수 없을 듯" 섬뜩 경고 날린 2380만 유튜버 - 아시아경제
- 2000만t 희토류 '잭팟' 터졌다…단숨에 세계 3위된 이곳 - 아시아경제
- 월급 안 부럽네… 월 500만원씩 따박따박 국민연금 받는 부부 첫 탄생 - 아시아경제
- "맨발로 팬티 입으면 피부병 생긴다"…이유가 뭐길래 - 아시아경제
- "월급 실화?""휴일도 출근?"…입사 첫날부터 관두는 日 직장인들 - 아시아경제
- 1500원짜리 커피 팔아 스타벅스 추월…작년 영업익 1000억 돌파했다 - 아시아경제
- "싸구려 취급 더는 못 참아"…'지브리 프사' 인기에 분노 폭발한 日감독 - 아시아경제
- "행운 온다" 너도 나도 쓱쓱…동상 가슴 훼손에 칼 빼든 도시 - 아시아경제
- "아이폰 333만원 된다"…트럼프 관세폭탄 최악 전망 - 아시아경제
- 동물단체 반발 속 "곰 350마리 없애겠다"…이유를 들어보니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