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는 정지궤도복합위성인 천리안위성 2B호가 촬영한 지구 해양관측 영상을 11일 최초 공개했다.

천리안위성 2B호는 환경·기상·해양 관측용 첫 정지궤도 위성으로, 세계 최초로 미세먼지 등 대기 오염물질을 주간 상시 관측할 수 있는 초분광 환경탑재체를 장착했다. 지난 2월 19일 발사에 성공하고 3월 6일 목표 정지궤도에 안착했다.

천리안위성 2B호가 지난 3월 23일 관측한 해양관측 영상.

천리안위성 2B호에 실린 해양탑재체의 성능시험은 3월 23일과 4월 21~22일 두 차례에 걸쳐 실시됐다. 해수부는 이 때 촬영한 첫 해양관측 영상을 공개하며 "정밀한 보정과정을 거치지 않았음에도 한국 등 동북아시아와 주변 해역의 모습이 선명하게 관측됐다"고 밝혔다.

특히, 인천 인근 해역을 확대했을 때 서해안 갯벌 지대의 모습 등이 명확하게 촬영됐다. 기존 천리안위성 1호가 촬영한 영상에서는 식별하기 어려웠던 인천대교의 모습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새만금 부근에 금강 등 여러 하천도 선명히 촬영돼 하천 담수가 해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더욱 정밀한 정보를 얻게 될 전망이다.

천리안위성 2B호는 기존 천리안위성 1호보다 공간해상도가 4배(500m→250m) 높기 때문에 기존에는 식별하기 어려웠던 항만과 연안 시설물 현황, 연안 해역의 수질 변동, 유류유출 발생 여부 등 다양한 해양정보를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천리안위성 1호와 천리안위성 2B호가 촬영한 관측 영상 비교.

천리안위성 2B호에는 더욱 다양하고 정확한 해양관측을 위한 관측밴드(자외선, 가시광선, 근적외선 대역의 빛의 파장대로 해양관측에 특성화된 컬러대역)도 4개 추가됐다. 이를 통해 해양오염물질의 확산과 대기 에어로졸 특성, 해양의 엽록소와 부유물질 농도, 해양정보와 육지의 식생 정보 등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됐다.

천리안위성 2B호의 해양탑재체는 올해 10월 국가해양위성센터를 통해 정상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며, 그 전까지 최적화를 위한 정밀 보정과정을 거친다.

김민성 해양수산부 해양영토과장은 "천리안위성 2B호가 목표 정지궤도에 무사히 안착한 이후, 기대 이상의 해양관측 초기영상을 보내오는 등 임무를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있다"며 "천리안위성 2B호의 해양 및 대기환경 관측 정보를 활용하여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