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현 구교운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4일 '전(全) 국민'에게 지급되기 시작한 긴급재난지원금의 '기부'와 관련해 "강요할 수도 없고, 강요해서도 안 될 일"이라고 밝혀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정부가 이번 추경안 심사 과정에서 긴급재난지원금의 자발적 기부 장치를 마련한 데 대해 "온 국민이 힘을 모아 경제 위기를 함께 극복하자는 뜻"이라며 "기부는 선의의 자발적 선택이다. 강요할 수도 없고 강요해서도 안 될 일"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기부에서 느끼는 보람과 자긍심이 보상이다. 형편이 되는 만큼 뜻이 있는 만큼 참여해 주시기 바란다"면서 "기부금은 고용 유지와 실직자 지원에 쓰일 것이다. 많든 적든 어려운 이웃들과 연대하는 손길이 되고, 국난 극복의 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특히 "기부할 형편이 안 되더라도 재난지원금을 소비하는 것만으로도 위축된 내수를 살리는데 기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긴급재난지원금의 기부를 독려하면서도 '자발적' 기부의 의미를 충분히 강조함으로써 미래통합당 등 야당에서 제기하는 이른바 '관제 기부' 공세에 빌미를 주지 않으려는 차원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긴급재난지원금 기부 여부를 놓고 '국민 편가르기' 논란이 제기되고 있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재난지원금 소비도 기여'라는 메시지를 발신한 것으로 풀이된다.
청와대 안팎에선 긴급재난지원금의 자발적 기부 운동을 독려하기 위해 문 대통령도 재난지원금 자발적 기부에 동참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앞서 여야가 긴급재난지원금 지급대상을 전 국민으로 확대하는 것을 두고 신경전을 펼 당시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선 문 대통령이 '1호 기부자'로 나서는 방안이 아이디어로 나오기도 했었다.
특히 민주당과 기획재정부가 지급대상 확대를 놓고 충돌하는 양상을 보이자, 문 대통령이 지난달 21일 참모들과 회의에서 "민주당과 기재부의 의견이 다른데, 서로 윈윈해야 한다"며 '고소득자의 자발적 기부'라는 아이디어를 제시하며 직접 중재에 나서 혼선을 매듭짓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회의에서 기업 임직원들과 종교인 등의 자발적 기부 움직임을 거론, "자발적으로 재난지원금을 기부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는 것은 좋은 일이다. 국난 극복에 힘을 모으려는 국민들의 연대와 협력의 정신에 깊은 존경의 마음을 표한다"며 "정부는 국민들께서 정성으로 모아준 기부금이 필요한 곳, 어려운 국민들을 위해 가장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gayunlove@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