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후생노동성이 한국산 진단키트의 성능에 대해 의구심을 드러낸 가운데 아베 신조 총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해 한국과 계속 협력하고 싶다는 입장을 밝혔다.
아베 총리는 29일 참의원(상원) 예산위원회에서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한 한국과의 관계를 묻는 말에 “중국 우한에서 많은 감염자가 발생한 후 폭발적으로 확산했고, 이후 한국의 대구를 중심으로 많은 감염자가 나왔다”며 “(한국과) 정보를 나누고 경험을 교류하는 것은 일본의 대응에도 매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질문자는 한국계인 하쿠신쿤(한국명 백진훈·입헌민주당) 의원이었다.
아베 총리는 이어 해외 거주자를 전세기로 귀국시키는 과정에서 한국과 협력한 사례를 언급하며 “한국과 계속 코로나19 대응에 협력하고 싶다”는 바람을 드러냈다. 그러면서 “한국은 우리나라의 이웃 나라이고, 중요한 나라”라는 발언도 했다. 한국에서 코로나19 진단키트를 지원받아도 쓰기 전에 성능 검증이 필요하다던 후생노동성의 방침이 전해진 뒤 나온 발언으로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그는 내년 7월 연기된 도쿄올림픽·패럴림픽에 대해서도 코로나19가 종식되지 않으면 개최가 쉽지 않을 것이란 의견도 밝혔다. 아베 총리는 하쿠신쿤 의원이 ‘(올림픽) 1년 연장을 총리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제안했는데, 코로나 종식이 전제냐’고 묻자 “종식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완전한 형태로 개최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현재 코로나19 상황에 대해 장기전도 각오해야 한다며 “인류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이겨낸 증거로 대회를 개최해야 하는데, 그런 상황이 아니면 상당히 이 대회는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 또한 “올림픽 취소는 없다”던 그간의 강경론에서 한발 물러난 태도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