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일본 참의원 홈페이지 영상 캡쳐 |
29일 산케이, 로이터 등에 따르면 이날 열린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일본 제1 야당인 입헌민주당 하쿠 신쿤 의원으로부터 질문을 받고 "올림픽과 패럴림픽은 선수와 관중들이 모두 안전하게 참가할 수 있는 상황에서 완전한 형태로 개최돼야 한다"며 "코로나19 대유행이 억제되지 않는 한 올림픽을 이렇게 완전하게 개최하는 것은 어려울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당초 올해 7월 열릴 예정이던 도쿄올림픽은 코로나19 발발로 1년 미뤄진 상황이다. 또 백신 개발이 이뤄지지 않은 가운데 내년 올림픽도 어렵지 않겠냐는 의견들이 분분했다. 이 가운데 아베 총리가 직접 공식 석상에서 올림픽의 불가능성을 언급한 것이다. 그만큼 일본 내에서의 코로나19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됐다.
아베 총리가 이날 사안의 심각성을 인지한 듯한 발언은 또 포착됐다.
같은 의원으로부터 '한국과 어떻게 협력할지, 한국과 관계가 중요치 않느냐'는 요지의 질문에 "한국은 중요한 나라"라며 "(감염 확산을 경험한) 한국과 정보를 나누고 경험을 교류하는 것은 일본의 대응에도 유리할 것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 입헌민주당 렌호 의원으로부터 '남은 1주일 안에 긴급사태 선언을 끝낼 수 있는지' 질문을 받은 아베 총리는 선포 해제가 사실상 어려울 수 있음을 시사했다.
아베 총리는 "현 상황에도 감염자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5월6일에 '긴급사태가 종료됐다'고 말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여기서 판단할 수는 없다"며 "전문가들로부터 분석, 의견을 받고 싶다"고 덧붙였다.
총리로부터 이런 발언이 나온 뒤 현지 언론에서는 일본 정부가 1개월 가량 긴급사태 연장 방침을 내렸다는 보도도 나왔다.
니혼게이자이는 "정부가 비상사태 선언 연장 방침을 굳혔다"며 "1일에 열리는 전문가 회의 의견, 감염 상황을 지켜본 뒤 최종 판단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5월 말에 연기하는 방안과 6월7일로 하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단 보도였다.
니혼게이자이는 이어 "5월 1일 전문가 회의 후 4일 상세 방안을 정식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밖에 일본에서 임시 휴교가 장기화하고 있는 가운데 아베 총리는 '9월 입학제'와 관련해 질문을 받고 "진지하게 검토해야 할 과제 중 하나"라고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