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타워] 활짝 핀 이팝나무 꽃의 '말'

이귀전 2020. 4. 29. 22:2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초록잎을 틔운 나무 사이로 듬성듬성 흰 점들이 퍼지기 시작한다.

매화, 벚꽃에 이어 봄의 생기를 알리는 이팝나무 얘기다.

겨우내 아껴먹던 쌀은 바닥을 드러내고, 보리는 여물지 않았던 과거 이맘때 보릿고개 시절 선조들은 쌀알처럼 생긴 이팝나무 꽃이 수북이 핀 것을 보며 고봉처럼 쌓인 흰 쌀밥을 떠올렸다.

'저 꽃들이 다 쌀이었으면, 원 없이 쌀밥을 먹어봤으면.' 그 간절함이 투영돼 나무는 '이밥'으로 불리다 '이팝'으로 이름이 붙여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선거 후 민생 외면하는 여야, 국민은 지켜보고 있다

초록잎을 틔운 나무 사이로 듬성듬성 흰 점들이 퍼지기 시작한다. 작디작은 깨알 같은 점들은 시간이 지나면 초록빛을 지우고 흰빛으로 나무를 뒤덮어 묘한 분위기를 그린다. 매화, 벚꽃에 이어 봄의 생기를 알리는 이팝나무 얘기다. 이팝나무는 ‘쌀나무’로 불린다. 겨우내 아껴먹던 쌀은 바닥을 드러내고, 보리는 여물지 않았던 과거 이맘때 보릿고개 시절 선조들은 쌀알처럼 생긴 이팝나무 꽃이 수북이 핀 것을 보며 고봉처럼 쌓인 흰 쌀밥을 떠올렸다. ‘저 꽃들이 다 쌀이었으면, 원 없이 쌀밥을 먹어봤으면….’ 그 간절함이 투영돼 나무는 ‘이밥’으로 불리다 ‘이팝’으로 이름이 붙여졌다.

최근 가로수와 산허리에 핀 이팝나무 꽃을 보니 과거 보릿고개 시절 선조들의 마음이 조금은 와 닿는다. 문재인 대통령이 “미증유의 비상경제 시국”이라고 말한 것처럼 코로나19 사태 이후 닥친 어려움이 들려온다. 알고 지내던 직장인이 무급휴직에 들어가고, 곧잘 가던 음식점이 문을 닫았다. 당장 끼니 걱정은 아니더라도, 먹고사는 문제로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는 ‘21세기판 보릿고개’가 온 것이다.
이귀전 정치부 차장
결국 이럴 때 바라보는 건 정치다. 치고받고 하는 정치를 수도 없이 욕하지만, 그래도 먹고살기 힘든 문제에 대한 답을 정치권에서 어떻게 해서든 내놓길 갈망한다. 그런 기대가 4·15총선에서 여당 압승, 야당 참패란 결과를 내놓았다.

각종 변수와 자료 등을 동원한 선거 결과 분석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미래통합당 등 보수 세력들은 ‘코로나19가 아니었으면 여당이 절대 이길 수 없었던 선거’, ‘사회 주도 세력의 진보층이 더 많아졌다’는 등의 분석을 내놓는다. 기자 출신 통합당 민경욱 의원은 ‘개표 조작’ 의혹도 제기한 상태다. 제로섬 게임인 정치에서 패자의 ‘자기 위안’에 불과하다. 외부의 영향으로 졌다고 해야지, 속이 좀 편할 테니 말이다.

국민들은 선거 이후 통합당의 모습을 보고선 ‘저 당이 져서 다행이다’ 생각할 듯싶다. 총선에서 낙선한 심재철 당 대표 권한대행이 대패한 총선의 총괄선대위원장을 맡았던 김종인 위원장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앉히려 하고 있다. 김 전 위원장이 심 대행에게 내건 조건은 ‘내년 3월까지는 대선 승리의 준비를 마치고 떠나겠다’는 것이다. 선거 참패 원인을 놓고 치열하게 반성하고, 해결책을 찾아야 할 정당이 오히려 승리한 정당처럼 ‘대선 승리’ 얘기를 꺼내며 상황을 수습하고 있다. 절박함이 안 보인다.

더불어민주당도 총선 승리 후 오거돈 전 부산시장 성추행, 더불어시민당 양정숙 비례대표 공천 검증 부실 등 갖은 구설이 터져 나오고 있다. 이해찬 대표가 총선 승리 후 과거 열린우리당 시절을 거론하며 ‘겸손’을 강조하고 있지만, 압도적 의석수의 민주당은 ‘오만 프레임’에 빠질 수밖에 없다. 사건·사고가 터지는 것을 막을 순 없겠지만, 얼마나 매끄럽게 수습하냐가 ‘오만 프레임’에 대응하는 방법일 것이다. 거기에 더해 실력을 입증해야 한다. 20대 국회와 같은 ‘야당의 반대’는 변명조차 되지 않는다. 먹고사는 문제 해결이 최우선이 아니면 개헌이나 개혁입법 등은 아무 의미가 없다. 승자는 동정표를 받을 수 없다.

국민들이 여당에 표를 준 것은 단순하다. 그나마 먹고살게 해줄 것 같은 정치세력을 선택한 것이다. 먹고살기 바빠 정치에 관심이 없는 것 같아도 국회에서 정치를 어떻게 했는지 다 안다. 대선이나 총선 등 다음 선거까지 국민들은 먹고사는 데 허덕이겠지만, 정치판의 모든 것을 알고 있다.

이귀전 정치부 차장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