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학종·논술 비중 축소, 학생부교과 신설

(사진=황진환 기자/자료사진)

 

서울 지역 16개 주요 대학이 현 고교 2학년생이 치르는 2022학년도 입시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 위주 전형을 40% 안팎으로 대폭 늘린다. 반면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은 크게 줄어든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29일 발표한 2022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에 따르면,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서울 소재 16개 대학의 수능위주 전형 비율은 2021년 29.0%에서 37.6%로 크게 확대된다. 이중 9개 대학이 40% 이상으로 늘렸고 나머지 7개 대학도 모두 30% 이상으로 확대한다.

지난해 12월 교육부가 대입 공정성 제고를 위해 서울 지역 대학에 2022학년도까지 수능 위주 전형 비중을 40% 이상으로 확대할 것을 권고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따라 수능위주 전형 비중은 고려대(18.4→40.1%) 연세대(30.7→40.1%) 한양대(29.6→40.1%) 동국대(31.2→40.9%) 서강대(33.1→40.6%) 서울시립대(32.3→40.4%) 서울여대(32.5→40.1%) 건국대(34.4→40.0%) 한국외대(38.7→42.4%) 등 9개 대학에서 40% 이상으로 확대된다.

또 서울대(21.9→30.1%) 경희대(25.2→37.0%) 숙명여대(25.7→33.4%) 중앙대(26.7→30.7%) 숭실대(30.8→37.0%) 성균관대(31.0→39.4%) 광운대(32.2→35.0%) 등 7개 대학도 수능 비중을 30% 이상으로 늘린다.

이에따라 주요 16개 대학의 수능위주 선발인원은 1만 9296명으로 4509명이 증가하고 이중 서울대 293명, 고려대 914명, 연세대 375명 등 3개 대학에서 1582명이 늘어나면서 12년만에 정시에서 최대규모 선발이 이뤄진다.

반면 서울 주요 대학 대부분은 학생부종합전형(학종) 비율을 2021년 45.6%에서 35.8%로 크게 줄인다.

서울대(78.1→69.9%) 고려대(47.5→36.3%) 연세대(48.9→27.6%) 서강대(51.4→37.7%) 성균관대(49.6→36.5%) 숭실대(37.6→32.0%) 한양대(39.1→33.5%) 등으로 학종 비중을 축소한다.

이에따라 16개 대학에서 학종 인원은 1만 8343명으로 4916명이 대폭 감소하고 이중 서울대 230명, 연세대 768명, 고려대 454명 등 3개 대학에서 모두 1452명이 감소한다.

학교 내신성적 위주의 학생부교과전형의 경우 연세대(13.9%) 성균관대(9.8%) 서강대(10%) 동국대(13%) 경희대(10.2%) 건국대(10%) 등이 학생부교과전형을 신설하면서 모집인원이 16개 대학에서 1,841명이 증가한다. 반면 고려대는 27.8%→20.0%로 비중을 소폭 줄인다.

서울대와 고려대 등 논술 전형을 치르지 않는 대학을 빼고 대부분 대학이 논술 전형 비율을 축소해 논술 비중이 10.6%에서 8.7%로 줄어들고 인원도 995명 감소한다. 기존 적성고사를 실시하던 대학은 적성고사를 폐지하고 논술로 전환한다.

또 학부에서 처음 선발하는 약학대학의 경우 1578명을 뽑는데 정시 41.5%(655명), 수시 58.5%(923명) 비중으로 나타났다. 서울대 63명, 연세대 36명, 고려대(세종) 36명, 성균관대 70명, 경희대 44명, 이화여대 90명, 중앙대 131명 등을 선발한다.

0

0

전체 댓글 1

새로고침
  • NOCUTNEWSleonard2020-04-29 17:06:30신고

    추천0비추천0

    대학학벌이나 역사파악은 국사나 세계사(참고서 포함), 국내법.국제법, 정부간행 백과사전, 여러가지 백과사전, 학술서적등이 가장 좋은 자료임. 그래서 국민들이 쉽게 접할수 있는 입시전문지 베리타스 알파 상위 15개대를 이렇게 정리함. Royal 성균관대와 성대 다음 Royal대 예우 서강대는 일류.명문대>그 뒤의 입시점수 상위대학들로는 주권없고 학벌없는 패전국 일본 잔재와 그 밑 대학들.

    http://blog.daum.net/macmaca/2926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