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미디어 - 엔터 테마, 디피씨 +20.69%, 엘비세미콘 +8.16%
C-Biz봇 2020. 4. 28. 14: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테마가 강세다.
디피씨(026890)+20.69%, 엘비세미콘(061970)+8.16%, 에스엠(041510)+7.62%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음반을 제작, 기획하고 판매하는 음반/음원 산업과 예술 관련 서비스업인 매니지먼트산업으로 분류.
국내 엔터산업은 차별화된 육성 시스템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보유.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디어 - 엔터]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3.16% 상승세이다. 디피씨(026890)+20.69%, 엘비세미콘(061970)+8.16%, 에스엠(041510)+7.62%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계절적인 경기의 변동이 거의 없고, 소속 가수들의 안정적인 팬 확보 및 기획력으로 흥행에 성공할 경우 수익 창출 효과는 다른 산업보다 훨씬 큰 고부가가치를 지님.
국내 엔터산업은 차별화된 육성 시스템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보유. 또한 다양한 국적의 멤버들을 합류시키면서 해외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는 데 주력. 최근 '한류열풍'의 영향으로 일본, 중국, 동남아에 이어 미국, 유럽에까지 K-POP 인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음.
방탄소년단이 미국 빌보드 메인 앨범 차트 `빌보드 200` 1위를 3번 기록(2018년 5월, 2018년 9월, 2019년 4월)하고, 블랙핑크가 한국 걸그룹 최초로 빌보드지 표지를 장식하는 등 글로벌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중. 최근엔 유튜브 등 플랫폼 확대로 글로벌 공연 및 음원 수요가 증가해 국내외를 막론하고 기업들이 엔터 및 한류 콘텐츠에 투자하는 중.
2018년 한류 관련 콘텐츠 수출액은 2017년 대비 22.8% 늘어난 44억2500만달러(약 5조 2551억원)를 기록해 사상 처음으로 5조원을 넘어섬(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한편 특정 기획사의 연예인 사건/사고는 리스크로 부각될 수 있음. 이 경우 주가 급락이 나타나기도 하며, 종목별 주가 차별화로 이어질 수 있음.
(마지막 업데이트 2019. 5. 31)
※ 토픽은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함. 상기 종목의 투자로 인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테마 설명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음반을 제작, 기획하고 판매하는 음반/음원 산업과 예술 관련 서비스업인 매니지먼트산업으로 분류.계절적인 경기의 변동이 거의 없고, 소속 가수들의 안정적인 팬 확보 및 기획력으로 흥행에 성공할 경우 수익 창출 효과는 다른 산업보다 훨씬 큰 고부가가치를 지님.
국내 엔터산업은 차별화된 육성 시스템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보유. 또한 다양한 국적의 멤버들을 합류시키면서 해외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는 데 주력. 최근 '한류열풍'의 영향으로 일본, 중국, 동남아에 이어 미국, 유럽에까지 K-POP 인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음.
방탄소년단이 미국 빌보드 메인 앨범 차트 `빌보드 200` 1위를 3번 기록(2018년 5월, 2018년 9월, 2019년 4월)하고, 블랙핑크가 한국 걸그룹 최초로 빌보드지 표지를 장식하는 등 글로벌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중. 최근엔 유튜브 등 플랫폼 확대로 글로벌 공연 및 음원 수요가 증가해 국내외를 막론하고 기업들이 엔터 및 한류 콘텐츠에 투자하는 중.
2018년 한류 관련 콘텐츠 수출액은 2017년 대비 22.8% 늘어난 44억2500만달러(약 5조 2551억원)를 기록해 사상 처음으로 5조원을 넘어섬(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한편 특정 기획사의 연예인 사건/사고는 리스크로 부각될 수 있음. 이 경우 주가 급락이 나타나기도 하며, 종목별 주가 차별화로 이어질 수 있음.
(마지막 업데이트 2019. 5. 31)
※ 토픽은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함. 상기 종목의 투자로 인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관련 종목
종목 | 등락률 | 종목설명 |
---|---|---|
디피씨(026890) | +20.69% | 자회사 스틱인베스트먼트(지분율 100%)를 통해 창업투자업 영위. 스틱은 최근 방탄소년단 소속사인 빅히트와 1040억원 규모 투자계약을 맺어 BTS 수혜주로 부각 |
엘비세미콘(061970) | +8.16% | LG그룹 방계기업으로 디스플레이 회로칩 생산. OLED TV에 들어가는 DDI(구동회로칩) 생산. 관계사인 LB 인베스트먼트가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지분을 보유 중이어서 BTS 수혜주로 부각 |
에스엠(041510) | +7.62% | 국내 1위 엔터테인먼트 업체.주력 아티스트 EXO, 소녀시대, 슈퍼주니어, 보아 등. 4년 만에 데뷔하는 남자 아이돌 그룹 'NCT'는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함. |
큐브엔터(182360) | +2.77% | 국내 5위 엔터테인먼트 업체. 비스트, 포미닛, 비투비 등. |
JYP Ent.(035900) | +2.74% | 국내 4위 엔터테인먼트 업체. 미스A, 2PM, 2AM, 박진영. |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 +2.43% | 국내 2위 엔터테인먼트 업체. 주력 아티스트 빅뱅, 싸이, 2NE1, 에픽하이 등. |
화이브라더스코리아(204630) | +1.04% | 연예기획사 사업을 영위 중인 회사. 김윤석, 주원, 김정은, 유해진 등 |
에프엔씨엔터(173940) | +0.69% | 음반기획 제작 및 매니지먼트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엔터테인먼트 업체. 유재석, 정해인, CNBLUE, AOA, FT아일랜드 등. 내년 초 10인조 걸그룹 ‘체리블렛’의 데뷔 예정. |
키이스트(054780) | 0.00% | 엔터테인먼트, 방송송출, 방송콘텐츠 제작 사업 영위. 일본 자회사 디지털어드벤처(DA)를 통해 방탄소년단과 일본 매니지먼트계약을 맺음. |
판타지오(032800) | -0.60% | 연예기획사 사업을 영위 중인 회사. 염정아, 주진모, 하정우, 김성균 등. |
청호컴넷(012600) | -3.71% | ATM기 제조사로, 엔터테인먼트 업체 '웰메이드예당' 주식 151만5774주(지분율 8.9%)를 170억원에 인수. 중국 콘텐츠 시장 진출 추진. |
SV인베스트먼트(289080) | -3.90% | 신생 벤처나 스타트업에 투자해 수익을 남기는 벤처캐피탈. BTS(방탄소년단)가 속한 빅히트엔터테인먼트 투자로 27배 이상의 수익 창출. |
미디어 - 엔터 테마 차트
[이 기사는 증권플러스(두나무)가 자체 개발한 로봇 기자인 'C-Biz봇'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조선비즈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Why] “젤렌스키는 독재자” 트럼프 공격, 우크라이나의 광물 채굴권 갈등 때문
- “그 돈이면 ‘갤럭시S25′ 산다”... 자체 칩셋 탑재하고도 ‘가성비’ 포기한 ‘아이폰16e’
- “해외 직구로 USB 사서 꽂았더니 악성코드 실행”… 중국발 개인정보 유출·해킹에 속수무책
- 中이 장악했던 유조선… 올 들어 韓 조선 잇단 수주
- 유명인 조롱 유튜버 ‘뻑가’, 신상 털려… 30대 후반 박모씨
- 농가 돕겠다더니… 백종원, 자사 밀키트에 ‘브라질산 닭’
- ‘내 아이에게는 국산 대신 수입산?’... 韓 시장에서 밀리는 K-분유
- 현대로템 vs 한화에어로… 다목적 무인車 수주전 승자 곧 결론
- [단독] ‘FA-50 큰손’ 말레이시아 방한… 2차 수출 기대
- “참치가 사라진다”… 태평양 섬나라의 ‘눈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