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원격수업 불만 속출에 "인프라·역량 세계 최고 수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교육당국이 접속장애, 동영상 끊김 등 원격수업에 대해 쏟아지는 학생·학부모 등 사용자 불만에 우리나라 원격수업 인프라와 역량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반박을 내놨다.
코로나19 확산으로 휴교를 실시 중인 국가들 가운데 싱가포르는 재택학습 자료를 학생들에게 공유하는 방식을 택했고 일본은 정부 차원의 원격수업을 진행조차 하지 않고 있다는 것.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교육당국이 접속장애, 동영상 끊김 등 원격수업에 대해 쏟아지는 학생·학부모 등 사용자 불만에 우리나라 원격수업 인프라와 역량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반박을 내놨다.
코로나19 확산으로 휴교를 실시 중인 국가들 가운데 싱가포르는 재택학습 자료를 학생들에게 공유하는 방식을 택했고 일본은 정부 차원의 원격수업을 진행조차 하지 않고 있다는 것.
교육부는 17일 '코로나19에 따른 주요 국가별 원격교육 현황' 자료를 내고 "한국의 LTE 다운로드 속도는 북미·영국의 3배, 일본·홍콩의 3.5배 이상"이라며 "교원들도 자발적 커뮤니티를 통해 역량을 강화하고 있고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도 세계 1위로 뛰어나다"고 밝혔다.
전국 초중고 1·2단계 온라인 개학 돌입으로 원격수업이 진행 중인 가운데 실시간 쌍방향 수업이나 녹화강의 재생수업에서 접속장애나 영상 끊김 현상이 발생하는 등 교육 현장에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자 교육당국이 서둘러 진화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당국은 원격수업의 조기 안착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해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400만명에 가까운 접속자가 일시에 몰리면서 일부 산발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문제들은 상황실을 꾸려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문제 원인을 파악해 즉각 대응하고 있다는 것.
교육부 주장대로 실제 교육 현장의 원격교육 인프라와 스마트기기 보급, 교사 역량과 학생들의 수업 참여는 '세계적인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일선 학교에선 'EBS온라인클래스', 'e학습터' 등 공공 온라인 플랫폼을 비교적 안정적으로 사용하고 있고 '구루미', 'MS팀즈', '클래스팅' 같은 민간 플랫폼도 필요에 따라 병행 사용 중이다. 'Zoom', 'Webex' 등 다양한 해외 플랫폼을 활용한 실시간 쌍방향 수업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정부부처와 민간기업이 힘을 합해 원격수업의 안정적 운영을 지원하고 있고 국내 교사들의 온라인 강의 및 세미나 참여 비율도 90.6%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35.7%)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도 미국, 덴마크, 독일, 프랑스 등 선진국을 넘어서 1위다.
무기한 휴교에 들어간 프랑스는 이달초 대입자격시험인 '바칼로레아'를 부분 취소하고 내신성적 등으로 대체키로 발표했다. 쌍방향·단방향 원격수업을 시행 중이지만 약 5~8%의 학생들이 수업에 제대로 접속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해 대안 마련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등교 개학 후 집단감염 발병으로 다시 재택학습으로 전환한 싱가포르는 학생들에게 온라인 학습자료와 인쇄물 등을 제공해 과제를 수행하게 하고 교직원이 학습 진도를 매일 점검하는 형태로 수업을 이어가고 있다. 일본은 일부 학교에서 원격수업을 자체 시행하기도 하지만 정부 차원의 원격수업 계획은 아직 발표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韓 주식 되사기 시작한 외국인..동학개미에 손들었나?
- "총선 끝나니 더 걱정입니다" 여당 압승에 숨죽인 기업들
- 정치신인 이수진에 밀려 낙선, 나경원 "민심 무겁게 받아들이겠다"
- 섣부른 등교개학 싱가포르의 참사, 감염자 하루 700명↑
- '5선 실패' 박지원 "12년 주신 사랑에 감사..새로운 길 가겠다"
- "이민호, 내 남편" 팬들 걱정 샀던 박봄…논란 속 출국 - 머니투데이
- 이지아 친일 조부 350억 땅 '시끌'…"국가 환수돼야, 가족과 연 끊어" - 머니투데이
- 장우혁, 8년 연애 끝 4월 결혼…"'처하태평' 남편 될 것" - 머니투데이
- 만삭 아내에 "죽여버린다"…전 축구선수 협박 '충격' - 머니투데이
- 故송대관, 500억 벌고도 빚더미에…태진아 "스트레스 컸을 것"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