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79.27
(52.46
2.00%)
코스닥
777.49
(3.84
0.50%)
  • 비트코인

    143,026,000(-0.67%)

  • 이더리움

    4,012,000(-0.93%)

  • 리플

    3,793(-2.4%)

  • 비트코인 캐시

    468,900(-1.34%)

  • 이오스

    910(-1.22%)

  • 비트코인 골드

    6,815(-0.89%)

  • 퀀텀

    4,728(-0.25%)

  • 이더리움 클래식

    30,140(-0.6%)

버튼
가상화폐 시세 관련기사 보기
  • 비트코인

    143,026,000(-0.67%)

  • 이더리움

    4,012,000(-0.93%)

  • 리플

    3,793(-2.4%)

  • 비트코인 캐시

    468,900(-1.34%)

  • 이오스

    910(-1.22%)

  • 비트코인 골드

    6,815(-0.89%)

  • 퀀텀

    4,728(-0.25%)

  • 이더리움 클래식

    30,140(-0.6%)

정보제공 : 빗썸 닫기

3월 실업급여 지급액 '역대 최대'…최소 15만6천명 직업 잃었다

입력 2020-04-13 19:41  

3월 실업급여 지급액 역대 최대최소 15만6천명 직업 잃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여파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이 늘어나면서 지난달 구직급여 지급액이 9천억원에 달해 역대 최대 기록을 또 갈아치웠다.
고용노동부가 13일 발표한 `고용행정통계로 본 3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구직급여 지급액은 8천982억원으로, 작년 동월(6천397억원)보다 2천585억원(40.4%) 급증했다. 지난 2월 세운 역대 최대 기록(7천819억원)을 한 달 만에 경신했다.
구직급여는 정부가 실업자의 구직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고용보험기금으로 지급한다. 조기 재취업 수당 등과 함께 실업급여에 포함되는데 금액으로는 실업급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일정 기간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한 사람이 구직급여를 받을 수 있다.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자영업자, 특수고용직(특고) 종사자, 프리랜서 등은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다.
지난달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15만6천명으로, 작년 동월(12만5천명)보다 3만1천명(24.8%) 증가했다. 이들의 상당수가 코로나19 사태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관측된다.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를 업종별로 보면 개인병원을 포함한 보건·복지업(3만5천명), 제조업(1만9천명), 건설업(1만6천명), 도·소매업(1만5천명), 학원 등 교육서비스업(1만5천명) 등에서 많았다. 코로나19 사태의 직격탄을 맞은 업종들이다.
지난달 구직급여 수급자는 60만8천명으로, 작년 동월(50만6천명)보다 10만2천명(20.2%) 증가했다. 구직급여 수급자도 역대 최대 규모다. 1인당 평균 수급액은 147만7천원이었다.
노동부는 "지난달 구직급여 지급액이 대폭 증가한 데는 신규 신청자 증가가 일부 영향을 미쳤지만, 대부분은 구직급여 지급 기간 연장과 지급액 상향 조정 등 생계 보장 기능을 강화한 데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지난달 고용보험 가입자 수의 증가 폭도 약 16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고용보험 가입자는 지난달 1천375만7천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25만3천명(1.9%)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가 폭으로는 카드사의 부실로 신용불량자가 급증했던 `카드 대란` 시기인 2004년 5월(23만7천명) 이후 가장 낮았다.
고용보험 가입자의 월별 증가 폭이 30만명을 밑돈 것도 2018년 3월 이후 2년 만에 처음이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354만8천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3만1천명(0.9%) 감소했다. 제조업의 고용보험 가입자 감소는 7개월째이고 그 폭도 계속 커지고 있다.
서비스업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935만8천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27만3천명(3.0%) 증가했다. 그러나 올해 1∼2월 증가 폭이 약 40만명인 점을 고려하면 증가세가 약해졌다.
보건·복지업, 숙박·음식업, 교육서비스업 등의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 폭이 줄줄이 떨어졌다. 특히, 호텔을 포함한 숙박업의 경우 고용보험 가입자가 1천500명 줄어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사업장 규모별로 보면 5인 미만 사업장의 고용보험 가입자의 증가 폭(4만9천명)이 2월(8만4천명)보다 눈에 띄게 떨어졌다. 5∼29인 사업장의 증가 폭(5만3천명)도 2월(8만8천명)보다 훨씬 낮았다. 소규모 사업장부터 코로나19 사태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준 것으로 풀이된다.
노동부가 이날 발표한 통계치는 고용보험 가입자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코로나19 사태의 영향을 전반적으로 보여주기에는 한계가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가장 먼저 피해를 본 자영업자, 특고 종사자, 프리랜서 등이 대부분 조사 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통계청이 17일 발표할 3월 고용 동향이 주목된다. 통계청 고용 동향은 고용보험 가입자뿐 아니라 자영업자를 포함한 모든 취업자를 대상으로 한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디지털캠프광고로고
핀(구독)!
광고삭제